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사용하고 있는 행정용어 가운데 일제 잔존 또는 권위주의적 용어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어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여론이다.
30일 군포시와 공공기관들에 따르면 정부는 법령을 제정하거나 문서를 작성할 경우, 행정용어를 간결하면서도 부드럽고 뜻이 쉽게 전달되도록 지난 93년에 행정용어 순화편람을 발행,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공무원들은 지금까지 일본식이나 관료적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행정용어 개선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실제로 민원통지문에 자주 사용되고 있는 용어중 ‘이해해달라’라는 뜻을 ‘양지하시기 바란다’란 표현을 아직도 사용하고 있으며 체육 및 각종 행사용어에 ‘윷놀이’를 ‘척사대회’, ‘둔치’를 ‘고수부지’등으로 사용하는 등 우리 고유어를 퇴색시키고 있다.
또 쉬운말을 어려운 용어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는데 ‘꽃 재배지’를 ‘화훼단지’, ‘달다’가 ‘패용하다’등으로, ‘옆 도랑’이 ‘측구’로, ‘촌락’을 ‘취락’으로, ‘원서제출’을 ‘출원’, ‘첫 방문’이 ‘초도순시’, ‘파내기’를 ‘준설’등으로 각각 사용하는 등 평소 익숙한 용어를 쉽게 사용하고 있다.
특히 공문서에 ‘사글세’를 ‘삭월세’로, 자격 의미인 ‘∼로서’와 수단 의미인 ‘∼로써”의 조사를 바꿔 사용하는 등 한글 맞춤법을 잘못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자주 발견되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행정기관이 사용되는 용어는 주민들에게 보편화된 말로 인식될 수 있는 등 파급효과가 크게 미칠 수 있다”며 “공공기관이 주민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개선된 행정용어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국민과 공공기관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군포=설문섭기자 mssul@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