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가 난립된 공장의 집단화와 새로 입주할 공장들에게 부지를 제공하기 위해 산업단지 조성을 계획하고 있으나 정작 이를 관리·운영할 인력과 전담부서가 없어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시에 따르면 지난 94년 ‘수도권정비계획법’이 완화된 이후 인천과 부천 등지에서 이전해오는 공장들이 늘면서 현재 3천600여곳에 이르는 각종 공장들이 시 전역에 흩어져 들어서 있다.
또 최근에는 서울 등 과밀억제권지역에서 규제를 피해 시 지역으로 이전하는 중소업체들의 공장수효가 크게 늘면서 개별공장의 입지가 더욱 늘어나는 추세다.
그러나 이들 공장을 흡수·관리할 산업단지 면적이 가동중인 공장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 난립된 공장들로 인한 환경문제 등에 속수무책인 상태다.
실제로 시 지역에 조성된 산업단지는 시흥, 안산, 성남, 화성 등 도내 6개 지역 가운데 가장 적은 56천㎡ 규모이다.
그러나 이미 조업중인 공장들 넓이는 산업단지 면적이 가장 넓은 시흥(1만4천196천㎡), 안산(1만5천206천㎡) 다음으로 많아 공장난립에 따른 민원도 크게 늘고 있는 실정이다.
시는 이처럼 난립된 공장들의 집단화를 위해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양촌면 일대에 40만평 규모의 지방공단 부지 조성을 계획, 지난해 도시기본계획 승인을 받아 지방공단 조성사업이 승인된 상태지만 공장 이전이나 공단 조성업무를 전담할 인력과 부서가 없어 전담부서 신설이 요구되고 있다.
상공회의소 문대영 국장은 “공장으로 인한 난개발을 막기 위해 산업단지를 조성하면서 전담기구가 없다는 현실은 문제″라며 “공단 조성이 단기간에 끝나는 사업이 아닌만큼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전담부서 신설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행자부의 정원문제로 인력 증원이 어려운 상태지만 공장문제가 최대 현안문제인 만큼 조직 개편을 통해서라도 전담부서를 신설하겠다”고 말했다.
/김포=권용국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