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를 낸 미군 병사에 대한 엄정한 조치와 억울한 유가족들의 보상문제가 하루빨리 해결돼야 합니다.”
지난달 13일 양주군 광적면 효촌2리에서 발생한 미 장갑차 여중생 사망사고 발생 이후 의정부 인근 지역에서 각종 단체들의 규탄대회가 계속되자 격앙된 지역 분위기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여중생 사망사건 이후 한달이 지나도록 의정부 인근에서 크고 작은 시위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도내 20여곳에서 시위를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13일 한총련 주도로 대규모 집회가 열렸고 이들은 앞으로 농성에 이어 다음달 3일 전국적인 추모제도 계획하고 있다.
또 요즘에는 이들을 추모하는 네티즌들의 글이 인터넷상에 자주 오르고 있어 주민들을 자극시키고 있고 의정부시와 양주군 인터넷 홈페이지에는 주한미군 범죄에 대한 잘못된 SOFA협정 등을 지적하는 글들도 연일 올라오고 있다.
최근 의정부경찰서가 공개한 사고 당일 미군의 자체조사에는 운전병 워커 마크 병장이 10마일 이내로 서행했고 지휘부와 무선교신중이어서 교통 통제관의 정지명령을 듣지 못한 것으로 기록됐으나, 시민단체들은 장갑차 운행 전 필수확인사항인 탑승자간 통신장비 이상여부를 점검치 않고 무단 운행했을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들은 사고현장에서 굉음이 들린 점으로 미뤄 최소 20마일 이상 달렸을 가능성이 높다는 상반된 주장을 펴고 있어 새로운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
경기도 제2청도 이번 사고와 관련, 광적면 거미울마을에서 효촌초등학교간 굴곡도로에 반사경과 안전유도표지판을 설치한 후 조만간 도로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사고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자는 행정당국의 조치는 당연한 일이나 ‘사후약방문’같은 느낌이 든다.
미군과 정부측의 미온적인 태도가 자칫 사건을 확대시키는 게 아닌가 걱정이 앞선다. /의정부=김현태기자 kht@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