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장 선출과정에서 발생한 ‘당론 항명파동’은 한나라당 인천시지부와 지구당위원장들의 불협화음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인천지역 정가에 나돌고 있다.
어떻게 당론으로 정한 의장선출을 당 공천을 받은 시의원들이 무시하고 항명파동을 일으켰느냐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 가운데 항명파동의 주 원인이 시지부와 지구당위원장들간의 반목 때문이라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시지부는 지난달 28일 안덕수 인천시 정무부시장을 내정하면서 지구당위원장들에게 사전설명조차 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전의 인천시장 경선에서는 당직자들이 현시장과 국회의원의 지지파로 나뉘어 치열한 물밑 접촉을 벌였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보다 전인 올 봄에는 대선과 지방선거를 앞두고 강력한 시지부장이 필요하다며 시지부장 교체설을 일부 지구당위원장들이 들고 나와 시지부와 지구당위원장들 간 눈에 보이지 않는 알력다툼이 있었다.
이같은 오랜 다툼이 알게 모르게 이번 시의회 의장선출에 여파를 미쳐 당론에 위배된 선거결과를 초래하는등 항명파동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이유야 어쨌든 올바른 시정감시를 위해 뽑아준 시의원들이 상호간 헐뜯는 추태에 대해 시민들은 ‘뽑아주었더니 싸움질만 일삼는다’는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한나라당 중앙당으로서는 지방선거 승리에 따른 단체장들의 자숙을 끊임없이 요구해 왔으며 서울시장의 ‘사진파동’에 이은 인천의 ‘항명파동’이 오는 12월 대선에 한나라당의 불신으로 이어지지 않을 까 걱정하는 모습이다.
민주당의원들과 연대해 자리를 차지하려 한 항명파동은 분명 당에 대한 해당행위로 간주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이번 항명파동이 당 지도부 간의 알력다툼 과정에서 해당 행위를 묵시적으로 방조하거나 일방적으로 밀어 붙인 것에서 비롯됐다면 시지부와 지구당위원장들 모두가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
인천시민들이 앞도적인 표차이로 한나라당 공천자들을 지지한데는 화합과 깨끗한 정치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 만큼 분열된 모습의 한나라당 인천시 지도부를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인천시 지도부가 이번 항명파동의 주동자 색출에 나선 만큼 이를 계기로 스스로 화합하고 결속을 다지는 진정한 정당인들의 집합체로 거듭나길 기대해 본다.
/김창수기자 cskim@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