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인가 조각인가.꽃을 소재로한 미술적 접근이 늘어나고 있다. 단순한 꽃꽃이의 수준을 넘어 꽃은 설치·조각 등 장식적인 요소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수원대학교 디자인대학원(미술대학장 이종안) ‘꽃 예술디자인을 연구하는 모임’은 ‘꽃·조형·탐색Ⅱ’란 테마로 19일부터 25일까지 서울 덕원갤러리에서 꽃 예술의 진수를 선보인다.
현대미술의 다양한 장르 중 꽃 예술이란 분야를 개척, 탐구하는 ‘꽃 예술디자인을 연구하는 모임’은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기네틱 아트 등 공간조형예술로 표현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는 김인홍의 ‘틈’, 김경천의 ‘유혹’, 김미선의 ‘마음의 거울’, 김정민의 ‘Civil and Flower’ 서영순의 ‘자유인’, 왕경란의 ‘세상과의 만남’, 원지희의 ‘모래시계’, 윤은숙의 ‘Open your mind’, 이순영의 ‘함께 가는 사회’ 등 디자인을 전공하는 원생 20여명의 40여 작품이 출품된다.
작품들은 꽃이 주는 자연의 싱그러움과 원생들의 미술적 발상이 결합돼 ‘꽃 이상의 꽃’으로 재탄생했다.
몬스테라, 플라터너스 줄기, 철, 안스리움 등을 재료로 한 ‘틈’은 인체의 형상을 한 플라터너스 줄기에 몬스테라의 정열적인 붉은 꽃이 조화를 이뤄 인간의 욕정과 영원사이의 갈등을 ‘틈’으로 표현하고 있다.
석죽, 스타티스, 알루미늄선, 벨벳철사 등으로 흐드러지게 핀 꽃을 표현한 ‘유혹’은 초록 줄기와 보라색 꽃이 요염한 자태를 뽐내고 있으며, 삼지닥, 금어초로 모계시계의 역학적인 구조를 형상화한 ‘모래시계’는 모래빛 삼지닥 줄기가 모래가 흘러내리듯 역동감을 느끼게 한다.
‘자유인’은 유채에 수수나무의 질감을 살려 바람에 날리는 머리결을 자연스럽게 형상화했으며, ‘세상과의 만남’은 능수버들, 플라터너스, 물안개, 드럼스틱, 단풍잎, 난뿌리, 분재와이어 등을 이용해 물안개를 경계로 이상과 현실과의 조우를 나타냈다.
이밖에 정영숙 김정민 김인홍, 이옥자 왕경란 조윤민 등의 설치 작품인 ‘망사옷 속의 꽃’들도 눈에 띤다. 220-2398
/고영규기자 ygk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