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당 선언은 소위 과학적 사회주의 강령을 요약했다.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1당 독재를 제창했다. 계급이 없고 능력에 의해 기여하고 필요에 의해 수요되는 완전한 사회주의로 가기 위해서라고 했다. 세월이 흘렀다. 개혁 개방에 성공한 중국 공산당은 내년 가을 제16차 당 대회에서 사기업 자본가등도 당원으로 입당시키는 것을 당 헌장에 명시할 것이라고 한다. 장쩌민(江澤民) 주석의 3개 대표론이다. 당명도 전민당(全民黨)으로 바꿀 것을 검토하다가 과제로 남겼다. 다당제도 검토되고 있다. 놀라운 변화다.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이 변화를 모색하면서도 중국처럼 변화하기 어려운 것은 수령론의 김일성주의에 있다. 노동당 말고도 몇개의 당이 있긴 있으나 노동당의 들러리인 간판뿐으로 실제는 1당 체제다. 노동당 당원이 되어야 근로 인테리층에 든다. 남북간의 민간교류 협력을 말하지만 북측에 순수한 민간인은 없다. 비록 신분은 민간인 이어도 노동당 당원이다. 남쪽의 노총에 해당하는 직업동맹도 그렇고, 교수나 문인도 그렇고, 종교인이나 언론인도 당원이다. 기업체(국영) 기업인도 당원이다. 이산가족 상봉도 아마 당원이 많이 차지할 것이다. 이에비해 대북 민간교류 접촉을 갖는 대한민국 민간 인사들 가운데는 예컨대 집권당인 민주당이나 야당인 한나라당, 자민련 당원이 없을 것이다. 또 북측 노동당과 남측 정당은 근본적으로 차이가 크다. 조선노동당 규약은 당원을 ‘당과 수령, 조국과 인민을 위하여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위하여 헌신하는 주체형의 공산주의 혁명투사이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냉전적 보수론이라고 책잡힐지 모르겠으나 무서운 한국전쟁을 경험했다. 어떤 일이 있어도 이땅에서 전쟁만은 있어서는 안된다. 동족상잔의 참상을 되풀이 하는 것은 민족에 대해 씻을 수 없는 죄악이다. 그래서 이념을 위한 이념의 노예가 되는 것을 거부한다. 남북 교류가 있어야 하는 것은 지상명제다. 당국자는 당국자끼리 만나고 민간인은 민간인끼리 서로 자주 만나야 한다. 북측의 민간인은 남쪽 민간인과는 다른 노동당 당원이라해도 만날 수 있으면 만나야 하는 것이다. 다만 옳은 이해를 위해서는 만나도 북측을 제대로 알고 만나야 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白山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