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자체장 선거를 조기 실시한다해도 약10개월이 남았다. 예정대로라면 1년여가 남았다. 이런 가운데 선관위는 공명선거를 위한 사전선거운동 단속의 강화에 나섰다. 현직 단체장은 시정보고회같은 모임을 갖는데도 몸을 움추린다. 자칫 업적홍보회로 보여서는 지적을 받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5월들어 갖는 가정의달 관련행사도 민간단체에 예산을 지원하는 민간주도 행사로 맡기고 자치단체는 발을 빼고있는 실정이다. 입장은 현직단체장이 아닌 후보 예정자들도 비슷하다. 언동하나 하나를 조심하지 않으면 나중에 사전선거운동의 함정에 빠지기 때문이다.
이런저런 선거법 제재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만약에 이같은 선거법과 선관위의 노력이 없다면 타락선거가 더욱 기승을 부릴 것은 불을 보듯이 뻔하다. 당국의 단속강화속에서도 설은 난무한다. 이는 법에 저촉되지 않은 한도내에서 표출되는 지역사회의 관심이기도 하다. 혹은 여론조사를 통해서, 혹은 자연발생적 방담을 통해서 전해짐으로 객관적 얘기와 주관적 견해로 구분될수 있다. 대체로 두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을 것같다.
우선 두어명의 거물급 인사 출마설이 있긴하나 설로 끝날 것으로 보는 것이 지배적이다. 결국 인지도가 높은 현직단체장과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다른 몇사람의 대결양상이 될것으로 전망되지만 결과는 예측이 불가능하다.
또 하나는 송탄시 합병이 아무래도 부담의 앙금이 된다는 사실이다. 이는 며칠전에 가진 ‘시민의날’행사에서도 감지할 수 있었다. 벌써 통합시가 된지 여섯해가 되는데도 송탄주민들은 옛송탄시에 대한 향수가 역력해 보였다.
국회의원은 두명 뽑는 평택에서 전지역을 단일 선거구로하는 단체장 선거는 그만큼 더 어려움이 많다. 무엇보다 중요 한것은 타락양상이 추방되는 모범선거풍토가 이룩돼야 한다는 점이다.
/제2사회부/평택 이수영기자 sy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