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장국

보통 술국이라고 하는 해장국은 술로 시달린 속을 푸는 국물 음식의 총칭이다. 고려 말기의 중국어 회화교본인 ‘노걸대(老乞大)’에 술 깨는 국이라는 뜻의 성주탕(醒酒湯)이 나오는데 이것이 해장국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육즙에 정육을 잘게 썰어 국수와 함께 넣고 천초(川椒)가루와 파를 넣는다”고 되어 있어 얼큰한 오늘날의 해장국과 그 기본이 같다.

조선시대 조리서에는 해장국이 나오지 않지만 조선 말기의 풍속화나 문헌에는 이에 관한 내용이 나타난다. 조선후기의 풍속화가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의 <주막도> 에는 술국을 먹으러온 한량들의 모습과 해장국이 끓고 있는 솥 앞에 앉자 국자로 국을 뜨고 있는 주모의 모습이 잘 그려져 있다. 해장국은 지방에 따라 재료와 끓이는 방법이 달라 제각기 특유한 맛을 내는데 <해동죽지(海東竹枝)> 에는 효종갱(曉鍾羹)이라하여, “광주(廣州)성내에서는 이 국을 잘 끓인다. 배추속대·콩나물·송이버섯·표고버섯·쇠갈비·해삼·전복을 초장에 섞어 종일토록 푹 곤다. 밤에 이 국 항아리를 솜에 싸서 서울로 보내면 새벽종이 울릴 때는 재상집에 이른다. 국 항아리가 아직 따뜻하고 해장에 더 없이 좋다”는 해장국에 관련된 풍속이 설명돼 있다. 아마 해장국이 뇌물로도 쓰였던 것 같다.

그렇지만 해장국은 주로 서민들이 즐겨 먹었다. 해장국은 원래 예전에 주막에서 새벽에 찾아오는 첫 손님에게 끓여주는 음식으로 ‘해정(解酊)국’‘해정탕 ’이라 하여 숙취를 푸는 국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해장국을 먹을 때는 거의가 해장술을 마신다. 이는 술을 술로써 다스린다는 우리나라 술 문화의 특이한 점이다. 그러나 이 습관은 오늘날 현대인의 잘못된 술 문화를 만들어 결국 해장술로 인하여 건강에 해를 끼치는 결과를 빚게 되었다.

해장술을 마시면 일시적으로 두통과 속쓰림이 가시는 듯 하나 사실은 해장술이 뇌의 중추신경을 마비시켜 잠시 숙취의 고통을 덜 느끼게 할 뿐이다. 그러니까 순간적으로 마약과도 같은 역할을 한다고 봐야 한다. 한번 마신 술이 완전히 체내에서 소실되려면 마신술의 양에도 관계가 있지만 최소한 24시간 정도가 걸린다고 한다. 때문에 간밤에 음주한 사람이 해장국을 먹으면서 술을 마시는 것은 권장할 일이 못된다. 술 없이 해장국과 밥을 먹어야하는 것이다. 해장술은 알코올 중독으로 가는 길이 되며 전날 밤 술로 손상된 위점막을 더욱 손상시켜 위염과 소화성 궤양, 식도염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런줄 알면서도 사람들은 해장술을 마신다. ‘ 음주가 만성자살 ’임을 잊고 살아가는 탓이다.

/淸河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