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김대통령 방미성과 후속조치 마련

2여는 13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의 성사와 김대중 대통령의 방미성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후속조치 마련 등에 공동노력키로 합의했다.

민주당과 자민련은 이날 이한동 총리 주재로 양당 및 청와대 고위간부가 참석한 가운데 국정협의회를 열어 이같이 의견을 모으고, 9개항의 합의문을 발표하는등 찰떡공조를 재다짐했다.

양당은 합의문에서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이 한반도 평화정착 및 남북간 상호교류. 협력 증대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이의 성사를 위해 공동 노력키로 했다”고 밝혔다.

양당은 특히 최근 여야간 논란이 되고 있는 한미 정상회담 결과와 관련 김 대통령의 방미성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하고 한반도 평화정착에도 인식을 같이했다.

이와 함께 양당은 “국가발전과 민생안정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치실현을 위해 노력한다”고 전제한뒤 “강력한 정부는 강력한 공조위에서만 가능하다”면서 “상생공득의 차원에서 보다 실천적인 공조가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경주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특히 양당은 정치안정이 양당의 철벽공조에서 비롯된다고 인식하고 이를 위해 ▲국정협의회의독매월 둘째주 화요일 개최 ▲양당 대표회담 및 양당 2역.3역 회담 수시 개최 ▲부처별 양당 당정회의 활성화 ▲양당 합동의원총회 개최 등에 의견을 모았다.

자민련의 요구로 채택된 제4항에서 양당은 정책, 선거등 각 분야에서 보다 원만하고 확실한 공조가 이뤄질 수 있도록 분야별로 공조협의체를 구성, 운영키로 합의했다.

이밖에 국회운영과 관련 양당은 법과 원칙을 견지하고, 여야간 합의를 최우선으로 하되 안될때는 표결처리하기로 했다.

또 개혁입법과 민생법안 처리를 위해 양당 및 정부의 공동합의안 마련과 처리에 주력하는 한편 국회법 개정에도 공동 노력키로 했다.

민주당 김중권 대표는 양당 국정협의회 운영과 관련“공조협의가 방법에 머물러서는 안된다”며 “국정운영의 방향을 제시하고 주요 포인트에 대한 차이점과 문제점, 어려운 점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는 자리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민련 김종호 총재권한대행도 “양당공조 이후 민심이 많이 좋아지고 있다”며 “국민이 양당공조에 기대를 걸고 있고, 희망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한편 이날 국정협의회에서는 교원정년과 관련 자민련이 63세로 연장하자는 입장을 거듭 주장, 현행 62세를 고수하자는 민주당과 이견을 드러냈다.

/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