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 발전 가로막는 부당한 인사

어느 기관이든 인사후유증은 있게 마련이다. 그래서 ‘인사가 만사’라는 이야기가 널리 회자되고 있다.

“지방자치 발전을 가로막는 부당한 인사는 철회돼야 합니다.”

부천시청과 3개구청 공무원직장협의회와 시민단체인 부천경실련이 18일만에 교체된 소사구청장의 경기도 인사후 내놓은 성명서 내용이다.

지방자치단체의 인사를 놓고 이렇게까지 공무원조직과 시민단체까지 비판하고 나선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부천시에 구청장과 국장급의 인사요인이 생겼을 경우 일부 인사는 시에서 자체 승진발령하고 일부는 경기도나 중앙의 인사가 발령돼왔다. 관행적으로 이뤄진 이같은 인사에 대해 부천시 공무원들은 그동안 반발은 하지 않았지만 가슴속 깊이 불만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번 소사구청장에 대한 경기도의 뒤집기 인사를 놓고 그동안의 불만을 더이상 삭이지 않고 폭발하게된 배경은 뻔하다. 구청장으로 발령난지 18일만에 경기도가 이를 뒤집어버린 인사를 해버렸기 때문이다.

취임한 구청장이 물의나 말썽으로 인사조치된게 아니고 구청장 자리를 도 인사로 바꿔치기한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여론이 비등한 것을 보면 일선공무원과 시민단체의 반발은 당연한 것이다.

이같은 상식없는 인사(?)에 대해 경기도만 비난할 수 만은 없다. 이미 알려진대로 경기도의 인사가 있는줄 알면서 미리 부천시가 구청장 2명을 대기발령시키고 시 국장급2명을 구청장으로 발령낸 것은 도인사를 받지않기 위해서일 것이다.

이런 속셈이 있었을진대 도가 뒤늦게 구청장을 교체하는 인사를 단행했을때 이를 반대하지 않고 그대로 수용해버린 배경이 어떻든간에 일관성 없는 부천시 인사정책도 비난받아 마땅하다.

구청장급인사를 광역자치단체장과 기초지방자치단체장간 협의를 통해 원만하게 해온 그동안의 관례대로 이번 소사구청장 인사를 했더라면 이같은 파행인사라는 비난은 없었을 것이다. 인사의 중요성이 새삼 느껴진다.

/오세광기자 <제2사회부 부천> skoh@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