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원

일본 경찰이 한국인 지도층을 포섭하려한 노동당 통일전선부 소속 공작원을 수사하고 있다는 현지 보도가 10여일 전에 있었다. 조총련 전간부인 공작원 집에서 노동당 지시각서, 공작상대의 인적사항, 공작활동보고서 등을 압수했으며 지시각서에는 정계, 종교계, 군의상층부등 영향력있는 인물을 포섭하도록 쓰여 있었다는 것이다. 또 (지금은 북송된) 비전향장기수 석방에 일본단체들은 움직인 사실도 확인됐다는 것이다.

북측 공작원이 이처럼 일본에서 적발되는 상황에서 국내에는 공작활동이 없는 것인지, 아니면 잡지 않은 것인지, 그도 아니면 잡고도 발표를 안하는 것인지 도시 알수 없어 궁금하다. 김영삼정권때 한동안 북한 공작원이 2만명에 이른다는 말이 있었다. 6·15 공동선언이 남한사회를 공작원 천국으로 만들었다고는 믿고 싶지 않으나 우연인지 어쩐지 몰라도 그후 단 1건도 간첩을 잡았다는 얘기가 없어 세간의 궁금증을 더해준다.

지난 4차 평양장관회담때 국방부의 주적개념을 트집잡은 북측이 계속 대남 비방의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저들의 트집에는 꼭 이면이 있다. 이번의 경우, 당장 50만㎾의 전기공급요구를 관철키 위한 전략이다. 정부는 내년 봄쯤 예상하는 김정일위원장의 서울답방시 협의키로 한발 뺐지만 큰 일이다. 전기공급으로 김위원장의 서울답방을 유도한다면 막상 서울 (또는 제주) 정상회담 이후의 부담을 어떻게 감당하려 하는지

잘 알수 없다. 가뜩이나 경제가 어려워 내 코가 석자인 마당에 6천억원이나 소요되는 전력(50만㎾) 공급을 지원한다는 것은 국민감정이 거부감을 갖는다.

그것도 일본에서 저들의 공작원 활동이 적발된 실정에선 더 더욱이 그러하다. 보수논리라고 매도할 것이 뻔하지만 무턱대고 갖다 퍼주는 것만이 남북관계 개선은 아니다. 진보논리에도 여러가지가 있음을 유의한다.

/白山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