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예술 보급을 위해 수원을 중심으로 꾸준한 공연활동을 펼치고 있는 풍물촌 꼭두(대표 이원재)가 한해를 마무리하는 풍물판굿을 연다.
14일 오후7시 수원청소년문화센터, 15일 오산 운암초등학교 강당에서 열리는 이번 공연은 청소년들에게 전통예술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일깨워주고 시민들에게는 다양한 예술장르를 접할 기회를 제공하고자 마련했다.
‘풍물촌 작은 굿판- 함께 나누는 신명’이란 주제의 수원공연에서는 풍물촌 꼭두의 ‘문굿’을 시작으로 올해의 액을 물리치고 다가올 2001년의 복을 불러오는 ‘비나리’ ‘삼도 사물놀이’ ‘판굿’등이 선보인다.
풍물굿을 시작하기에 앞서 펼치는 ‘문굿’은 축원 덕담과 함께 관객 사이를 지나 무대에 오르는 형태로 진행되고 ‘삼도농악’은 영·호남 농악 및 중부지역 농악을 바탕으로 하여 점고-청령-오채질굿-좌질굿-우질굿-굿거리-자진모리-휘모리의 순서로 연주할 예정이다. 또 약속된 장단과 놀음사위로 이루어진 잽이들의 뛰어난 기교와 멋을 볼 수 있는 ‘판굿’ 순서에선 전통 풍물굿이 지닌 악·가·무(樂·歌·舞)의 특징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한국민속촌 농악단장 정인삼선생의 ‘소고춤’을 비롯해 젊은 춤꾼 임은주, 이문이의 ‘입춤’ ‘살풀이’등 한국무용과 홍석분 등 소리꾼들이 펼치는 ‘경기민요’는 물론 각 지역에서 활동중인 전통예술단체의 우정출연 등 국악이 주는 멋과 신명으로 풍성하게 꾸며진다.
오산공연에선 풍물촌 꼭두의 ‘문굿’에 이어 김승룡의 ‘대금독주’, 홍석분의 ‘경기민요’, ‘삼도 사물놀이’ 등으로 꾸며진다.
풍물굿패 꼭두 대표 이원재씨는 “풍물이란 그저 단순히 가락이나 치고 남들 보기 좋게 일률적인 동작과 잔재주를 보여 관객들로부터 찬사를 받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전통을 잃지않고 우리 것을 이어 나가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어야 진정 전통을 온전히 이어가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번 공연은 이러한 기대를 충분히 만족시켜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232-1894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