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가을 현장 학습을 다녀와서

가을 현장 학습을 다녀와서

조아라 <안성 공도초등5>

나는 사회 과목을 무척 싫어한다. 그러나 오늘은 사회에서 배운 내용을 직접 찾아 볼 수 있는 날이라 무척 기쁘다.

이번 현장 학습의 장소는 우리가 배웠던 부여를 가기로 하였다. 버스 안에서는 과자를 먹는 소리가 “아그작 아그작, 하하 호호” 시끌벅쩍 하였다.

출발한지 2시간이 넘자 공주에 있는 무령왕릉에 도착하였다. 무령왕릉은 1971년 공주의 송산리 고분군 6호분에 배수로를 내기 위한 공사를 하다가 우연히 발굴하게 되었다는 안내문을 보고 깜짝 놀랐다. 귀중한 백제의 문화유산이 어둠속에서 사라질뻔 했구나 하는 걱정이 되기도 했다. 공주에서는 무령왕릉만 둘러 봤고, 더 많은 유적지를 보기 위해 차는 부여를 향해 빠르게 달렸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다.”맛있는 점심을 우리는 부소산성 밑에서 먹고, 부모님의 기념품, 동생의 장난감을 샀다. 선생님께서 앞장서서 부소산성을 오르기 시작했을 땐 꼭 등산을 하는 것 같았다. 부소산성은 흙을 섞어 쌓은 산성이었다. 성안에는 움집터, 낙화암, 삼충사, 고란사, 사비루 등 많은 유적이 있다고 배웠는데 무엇보다 나의 관심사는 낙화암이었다. 드디어 낙화암에 도착하여 가까이 내려가니 너무 무서워 겁이 덜컥났다. 그래서 사진도 찍지 못하고 올라오고 말았다.

낙화암에는 전설이 내려온다. 백제의 사비성이 함락되던 날 수많은 궁녀들이 이 바위 위에서 백마강으로 떨어져 죽었다는 이야기였다. 정말 낙화암에서 떨어지면 살 수도 없을 것 같았다.

집으로 돌아와서는 바로 잠이 쏟아질 정도로 피곤했다. 이번 현장학습은 사회 공부에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 그만큼 사회 공부가 쉬워졌으면 좋겠다. 그리고 앞으로 학습에 도움되는 곳에 가서 사회성적도 많이 올랐으면 좋겠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