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파공작원

얼마 전 까지만 해도 발설이 어려웠던 ‘북파(北派)공작원’은 6·25 직후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북한지역에 파견된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다. 초창기 공작원들은 이북출신이 77%를 차지해 월남 피란민 위주로 편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호(金成浩·민주당) 국회의원이 지난 3일 북파공작원 양성 파견부대였던 HID(첩보부대)소속 북파공작원 가운데 1953년부터 1956년까지 활동했던 HID 1기∼3기 366명의 명단을 최초로 입수, 공개하면서 알려진 북파공작원의 실체는 분단의 비애를 다시금 아프게 느끼게 한다.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때 까지 북파됐다가 사망·실종·체포된 공작원이 7천726명에 이르는데, 이들은 전쟁중엔 군인신분으로, 휴전 이후에는 계급과 군번도 없는 민간인 신분으로 북파됐다.

정부는 북파공작원의 존재에 대해 ‘정전협정 위반’이라며 함구하고 있었지만 1971년 서해안 실미도에서 특수훈련을 받다 부대를 집단 탈출, 서울진입을 시도하며 군·경과 교전했던 사건 등으로 인해 공공연한 비밀이 된 바 있다. 북쪽에서 사망·실종된 공작원의 유가족들은 수십년간 연락이 안돼 애태우다 이들을 행방불명자나 사망자로 신고하는 경우가 많았다. 극히 일부 가족들만 공작원 본인으로 부터 북파 전 북파사실을 전해 듣거나, 살아 돌아온 동료 공작원으로 부터 귀동냥을 했을 뿐이다. 그러나 최근 남한에 있던 비전향 장기수 63명 중 46명이 남파공작원들이었음을 상기할 때 북파공작원들에 대한 인식은 달라져야 한다. 지난달 2일 북송된 비전향 장기수들은 지금 영웅대우를 받고 있지 아니한가. 이제 유가족들에게 정확한 사실을 알려주어야 한다. 또 북쪽에 아직 북파공작원 중 일부가 생존해 있다면 북측과 비전향 장기수의 북송에 상응하는 귀환협상을 당연히 벌여야 한다. ‘남파간첩’과 대칭되는 북파공작원도 남북화해시대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중대사이다.

/淸河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