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장애인 친구를 보통 친구 대하듯

장애인 친구를 보통 친구 대하듯

홍미소 <수원 동수원초등5>

작년 내 동생 반에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있었다. 가끔씩 복도나 등교길에서 그 아이와 부딪칠때면 이상하게 생각했었는데 그 아이가 내 동생과 같은 반이 되었다. 나는 말을 듣고 놀랬다. 내 동생반 아이들은 그 아이의 손과 발이 되어 그 아이가 계단을 내려갈대도 도와 주었다. 그 아이들이 겉모습만 보고 이상한 누길로 바라본 내 행동이 너무 잘못 하였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 아이는 다리가 아파서 잘 못걷는 아이였다.

아침 등교때 그 아이의 어머니께서 매일 데려다 주시고 그 아이는 제대로 못걸어 엄마한테 혼나서 우는 것을 보았다. 그 아주머니께서도 우시는 것을 보는 순간 나도 눈물이 나올 것 같았다.

우리 사회는 아직까지도 장애인을 보는 시선이 곱지 않다. 하지만 장애인도 보통사람 못지 않게 훌륭하고 밝은 정신을 오토다케를 통해 알게 되었다.

오토다케는 팔과 다리가 10㎝밖에 안되는 팔로 농구공을 던지고 야구 배트로 공도 쳐낸다. 미식축구팀 코치까지 맡은 만능 스포츠맨이다. 오토다케가 스스로 일어설 수 있기까지는 디카기 교사가 있었다. 오토다케는 지난해 10월 신체는 불만스럽게 태어났지만 인생은 행복하다는 내용의 자서전 오체불만족을 써서 일본 열도에 화제가 됐다. 오토다케는 일본 TBS 뉴스프로그램 진행자로 활동하고 있고 NTV 라디오 DJ까지 맡았다.

장애인 제일 싫어하는 것은 동정심이라고 했다. 오토다케 주위 사람처럼 장애인을 친한 친구처럼 대하는 것이고 장애를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않고 우리랑 똑같은 사람이라고 생각해야겠다.

우리나라는 장애인이 살기에는 장애인 시설이 부족하다. 이제부터 장애인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작은 것에 신경써 좋게 만들었으면 좋겠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