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향리 사태 적극적 해결을

미 공군 쿠니사격장이 있는 화성군 우정면 매향리 사태가 진정은 되기는 커녕 오히려 확대되고 있어 이에 적극적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 23일 수원지법에서 군사보호법 위반 혐의 등으로 구속 기소된 매향리 미 공군 폭격 주민피해대책위원장 전만규 피고인에 대한 제1차 공판이 열린날 주민과 대학생들이 시위를 벌여 경찰과 정면으로 충돌한 사태가

발생하였다.

그 뿐만 아니다. 24일에는 매향리 현장에서 주민과 대학생, 그리고 시민단체대표 등800여명이 참석하여 대규모 시위를 벌여 역시 경찰과 충돌하는 사태가 야기되었다. 격렬한 몸싸움까지 발생하였으며, 앞으로 이런 시위는 계속될 상황이기에 우려를 금치 않을 수 없다. 그 동안 국방부와 미군 당국은 쿠니사격장으로 인한 주민피해를 조사하였으며, 조사 결과 매향리 지역에 대한 피해는 쿠니사격장과 무관한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주민들은 이 조사 결과에 대하여 강한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주민들은 합동 조사가 주민들의 피해에 대한 실질적인 사항에 대하여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더구나 매향리 지역에 대한 각종 피해가 쿠니사격장과 관련이 없다는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일반인들도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보면 매향리 주민들이 지난 50년 동안 미 공군의 사격연습 때문에 얼마나 많은 피해를 입었는가를 알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합동조사라는 거창한 이름 아래 오히려 미군에 면죄부를 주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매향리 사태가 어떻게 진전되느냐에 따라 앞으로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더구나 최근 성공적인 남북 정상회담으로 인하여 주한미군의 존재가 새로운 각도에서 논의되고 있기 때문에 매향리 문제를 가볍게 다루어서는 안된다. 한국과 미국의 관계는 점차 변화되고 있으며, 이는 새로운 시각에서 검토되어야 된다. 매향리 문제가 악화되면 반미감정을 증폭시킬 수 있음을 인식해야 된다. 이 문제를 지역에 한정된 문제로 보아서는 안된다.

국방부와 미군 당국은 주민대표, 시민단체 대표가 참여하는 조사위원회를 다시 구성하는 등에 적극적인 대책을 세워서라도 매향리 문제 해결에 대한 전향적인 자세를 보여 주어야 한다. 새삼 매향리 사태에 대한 관계당국의 적극적 대책을 요구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