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50주년을 맞는다. 지난 반세기동안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남북정상의 6·15 공동선언은 남북관계의 새 변수로 가속화할 전망이다.
그러나 변할 수 없는 것이 있다. 1950년 6월 25일, 일요일 미명에 38선 일대에서 조선인민군의 총 공격으로 발발돼 무려 3년여에 걸쳐 동족상잔의 참상을 빚은 실체적 진실은 부인될 수 없다. 전쟁중 피아간에 있었던 양민학살은 전쟁 그 자체가 지닌 속성이다.
지금 또 전쟁이 일어난다면 6·25때보다 더한 참극이 되풀이 된다. 전쟁은 이래서 무섭고 특히 동족상잔의 전쟁은 더욱 무섭다. 남북관계의 긴장완화는 민족화해다. 전쟁을 일으킨 과거를 용서하자는 것이 아니다. 다만 과거사를 따지면 불편해지고 불편해지면 긴장되고 긴장되면 대립이 지속될 수 밖에 없다. 남북관계 개선은 이런 전쟁재발의 우려를 없애자는 것이다. 멸공에서 반공, 반공에서 승공으로 변했다. 이제는 냉전을 종식시킬 차례다.
하지만 여기엔 상대가 있다. 공동선언은 냉전종식의 가능성이지 종식은 아니다. 6·25전쟁 50주년의 의의를 평화정착에 둘수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지만 불행히도 아직 신뢰가 구축되진 못했다. 지난 반세기동안 남북관계가 보여온 냉전은 너무 높은 불신의 장벽을 남겼다. 장벽을 점진적으로 허무는 것이 바로 관계개선, 민족화해를 위한 공동과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안보태세에 허점이 없어야 한다. 개선과 화해를 말하면서 안보를 말하는게 잘못이라는 지적은 감상적 허언이다. 힘이 없으면 평화도 없다. 안보는 외적태세만이 아니고 내적태세 또한 중요하다.
남북정상회담 이후 드러난 인식의 혼란은 재정비돼야 할 우려스런 현상이다. 마치 통일이 눈앞에 닥친 것처럼, 전쟁의 위험이 완전 해소된 것처럼, 남북화해가 용접된 것처럼 말하는 논리의 비약이 난무한다. 이는 진정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서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6·25전쟁 50주년을 맞아 모처럼 싹튼 냉전해빙의 전기를 제대로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감상적 대처보다 이성적 대처가 있어야 한다. 환상이 아닌 실상을 직시해야 한다. 정부부터 그래야 하고 사회정서 역시 그래야 한다. 북측 또한 마찬가지다. 참된 민족 공동체의 길, 공존공영의 길이 바로 이 길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