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연예술매니지먼트 세미나 개최

공연예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공지원 대상을 전문 예술단체 중심에서 극장, 예술교육, 문화예술 소비자, 아마추어활동 등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같은 의견은 한국공연예술매니지먼트협회가 지난 26일 오후2시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가진 춘계 세미나에서 발제자로 나선 안치운(연극학 박사, 연극평론가)씨와 이철순(전국문예회관연합회 사무국장)씨가 의견을 같이 한 부분이다.

제1주제 ‘공연예술활성화를 위한 공공지원제도 개선’에 대해 발표한 안씨는 공공지원제도의 문제점 분석과 지원 방향 전환의 필요성에 대해 발표하면서 “우리나라 공연예술단체들이 받는 지원금의 액수는 그리 적은 편이 아니며 지원금의 확대가 작가의 자유와 작품의 우수성을 결코 보장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또 “ 우리의 현 지원제도는 일회성 소모에 치중되어 있으며 그 성과와 결과가 급하게 드러나는 단기간 지원형식이 더 많다”고 말하면서 “공연예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공연예술 자산들을 정리 보급하는데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같은 방법으로 여섯가지를 제시했는데 첫째 공연예술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공연예술 자산들을 정리·보급하는데 힘써야 할 것이며, 둘째 기타 지역에 공공 극장을 새롭게 만들고 그에 적합한 기능을 부여하는 것, 셋째 독립된 극단들을 지원하는 것, 넷째 문화유산으로서 극장 건축에 관심을 갖고 지원하는 것, 다섯째 개인이 운영하는 독립된 극장들을 지원하는 것, 여섯째 단순히 공연을 위한 것이 아니라 출간을 위해 희곡 작가를 지원하는 것을 들었다.

제2주제 ‘지역공연장 운영활성화를 위한 공공지원제도 개선’에 대해 발표한 이씨는 “지방문예회관의 경우 자체 기획 공연을 하고자 하여도 예산이 없어서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하면서“정부의 공공지원금은 지방 공연활성화의 종자돈으로 활용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조성하고 현재 단체지원 방식에서 극장지원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지역공연장이 제작기능 수행으로 예술단체와 소비자가 모이는 중심체 역할을 함으로서 지역의 공간 명소화와 공간 활용의 중심이 되어 지역문화의 명실상부한 중심센타로서의 기능을 하는 곳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