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소놀이굿 전수회관서 공연

양주별산대놀이와 더불어 한국의 마당놀이를 대표하는 양주소놀이굿이 오는 30일 오후1시 양주군 백석면 방성리 산성말 소놀이굿 전수회관서 공연된다.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70호인 양주소놀이굿은 양주군 일대서 전승되는 놀이굿으로 올해로 17회째의 정기공연을 맞이하고 있다.

우마숭배와 농경의례인 소멕이놀이가 기원이 된 소놀이굿은 무속의 제석거리와 마마숭배굿에 자극을 받아 형성된 놀이굿으로 마을과 가정의 악귀를 쫓고 풍년농사와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는 무속에서 벗어나 일종의 희극적 성격을 띤 놀이문화로 발전해 왔다.

특히 우리나라 농경문화를 상징하는 어미소와 송아지를 등장시켜 소장수와 마부, 그리고 만신이 소흥정을 벌이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춤과 타령은 삶과 현실을 희화화시켜 익살스러움과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소놀이굿의 시작은 악사를 앞세우고 풍물을 울리며 마을에서 놀이마당으로 입장하는 길놀이부터 시작된다.

굿당으로 송아지가 춤을 추며 들어와 무녀와 장난을 치다 마부와 만신의 대화가 시작되고 풍년농사와 자손이 번창하기를 기원하는 제석거리가 펼쳐지고 나면 소에 대한 재담으로 마부타령과 소마모석 타령이 이어진다.

이어 소장수가 소값을 흥정하면 마부의 주장에 상관없이 마부 마누라 만신이 나타나 돈을 가로채는 것으로 소 흥정이 끝나고 굿도 마무리된다.

이번 공연에는 무형문화재 제7호인 고성오광대 탈춤과 이광수 사물놀이의 비나리, 신명숙 무용단의 대궐의향연, 새롬어린이집의 꼭두각시춤(인형춤), 등이 찬조출연해 양주소놀이굿의 공연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킬 예정이다.

/양주=조한민기자 hmch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