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총재회담이 논의되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다. 집권여당과 제1야당의 총재가 총선을 치르고 나서 만나는 것은 정국운영에 도움이 된다. 두 당에서도 회담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희망하는 것은 정국운영의 정상화 긴요성에 인식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총재회담은 의례적 행사가 아닌 실질회담의 내실을 기해야 하는 점을 강조한다. 과거의 총재회담은 아무 준비없이 만나 마음에 없는 공치사나 하고 사진찍고 밥만 먹고 헤어지는 일종의 정치 제스처의 성격이 강했다. 정치현안에 언급을 해도 구체성 없이 원칙론에 머물러 의례적 행사로 전락하곤 하였다. 이 바람에 만나고 나서 나중엔 서로 딴소리 하기가 일쑤였다. 회담분위기를 서로 제 좋을대로 해석한 탓이다. 결국
정국운영에 아무 도움을 가져오지 못해 무용론이 나오기까지 했다.
이번 회담 역시 전철을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서는 미리 유의해야 할 몇가지가 있다. 우선 여야가 예비접촉을 가져 의제와 토의방향을 서로 정해둘 필요가 있다. 아울러 회담결과는 두 총재의 서명이든 합의문 발표로 국민들에게 이행의무의 기속력을 지우도록 해야한다. 회담에 대한 충분한 사전준비와 함께 결과에 대해 책임을 갖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회담시기는 빠를수록이 좋을 것 같다. 총선후유증의 이른 극복을 위해서도 그렇지만 남북정상회담의 준비를 위해서도 그러하다. 정부가 정상회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각계의 의견을 앞으로 들어야겠지만 우선 제1야당 총재를 만나 그간의 추진상황을 설명하고 대책을 논의하는 것은 필수적 절차다.
어느 정당도 과반수 의석이 없는 가운데 여소야대의 분포를 보인 4·13 총선구도는 정계개편이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질 것인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분명한 것은 여권의 안정의석추구나 야권의 견제세력유지나 다같이 국익과 민생을 우선한 생산적 정치가 돼야 한다는 사실이다.
여야총재회담은 바로 이같은 관점에서 주선되고 또 출발해야 한다. 당리당략차원의 얄팍한 술수는 국민들이 먼저 간파한다. 비난을 더이상 듣지 않는 진솔한 총재회담의 면모가 실증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