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일꾼 제대로 뽑자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선거에는 유권자들의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후보자의 신상자료가 종전보다 많이 공개됐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미 공개된 후보자의 납세·병역·전과기록 등은 유권자들의 국회의원을 뽑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될 자료들이다. 그런데도 아직껏 지지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유권자가 상당수에 이른다는 것은 의아스럽다. 기권으로 연결되지 않을까 우려되기도 한다.

중앙선관위가 여론조사기관에 의뢰해 실시한 조사결과를 보면 지지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부동층이 37%에 이르고 있다. 또 후보자들의 병역·납세·전과기록 등의 공개로 드러난 후보들의 부정적인 흐름이 유권자들의 소극적 참여를 유도, 투표율이 총선 사상 처음으로 60%를 밑돌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물론 유권자들이 누구를 지지할 것인지 결정하지 못한 것은 그 나름대로 사정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가령 인물의 경중을 가리기 힘들어 망설이는 경우도 있겠고 혹은 지연이나 학연, 그리고 개인적인 선호도 사이에서 고민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기권으로 이어져서는 안된다. 투표권 포기는 곧 참정권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며 참정권을 행사하지 않는 것은 적극적 민주시민으로서의 자격을 스스로 저버리는 행위다.

따라서 유권자들은 정치개혁의지가 뚜렷하고 21세기 선진 한국의 발판을 마련할 진정한 일꾼이 과연 누구일 것인지를 제1의 선택기준으로 삼아 지지자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자기 지역 출신이라거나, 자기 학교 출신이란 이유등으로 사사로운 인정에 이끌려 주견없이 표를 던지는 행위는 삼가야 마땅한 것이다.

후보들이 내건 공약들의 구체적인 차이점을 꼼꼼히 비교해 무책임한 공약남발은 없는지 살펴보고, 공개된 병역·납세·전과 등 신상자료를 참고하는 동시에 후보들의 경륜·인품 등을 종합해 판단하면 누가 더 지역민의 뜻을 잘 대변하고 의정활동을 진취적으로 할 것인지 판단은 설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저울질해 봐도 마음에 드는 후보가 없을 경우는 최선이 아닌 차선(次善)을 택하는 기분으로 후보를 정해야 할 것이다. 유권자 개개인의 올바른 한표가 정치개혁의 원동력임을 명심하고, 내일 유권자의 위대한 힘을 주저 말고 보여줘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