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이 막판으로 치닫고 있다. 선거운동은 종반들어 더욱 치열해졌다.
그간 혼탁선거란 비판이 없지 않았다. 이번 총선은 몇가지 특성이 있다. 시민단체의 개입으로 낙천운동에 이어 낙선운동이란 것이 나왔다. 이런 가운데 세풍(납세), 병풍(병역), 과풍(전과) 등 3풍바람이 일고 있다. 이는 참고자료다. 판단은 유권자들 몫이다.
정치권은 여전히 이전투구 양상이다. 민주당은 한나라당이 금권선거와 함께 역관권선거를 획책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한나라당은 민주당이 되레 금품살포 관권선거를 추진하고 있다고 공박한다. 자민련은 두당을 싸잡아 비난하고 나섰다. 이런저런 객관적 현상은 이제 불과 사흘남은 선거운동을 매우 불안케 한다.
더욱이 도내 및 인천지역의 선거는 혼전속에서 한치앞을 예상키 어려운 상황이다. 전국적인 총선 승패의 캐스팅보트역할을 하는 곳이 수도권이다.
서울에 비해 더 격심한 경기·인천 선거구의 혼미속 격전은 각 당마다 사활을 건 부동표잡기 막판공세에 총력을 기울것이다. 한 의석이라도 더 얻으려는 정치권, 단 한표라도 더 얻고자 하는 후보자들의 당연한 노력을 탓할수는 없다.
하지만 우려되는 점이 없지 않다. 선거운동의 막판 가열은 자칫 불법사태를 부추기곤 한 것이 과거에 보아온 경험이다. 그렇지 않아도 사상 최상의 공명선거를 다짐했던 제16대 국회의원총선거가 사상 최악의 타락선거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탄이 없지 않다.
전국 법원 선거사범담당법관회의는 앞으로 벌금을 매겨도 당선무효에 해당하는 형량을 선고하기로 합의한 바가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검찰에 고발한 선거사범이 불기소처분될 경우, 재정신청을 해서라도 반드시 법정에 세우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힌적이 있다. 법원이나 선관위의 이같은 선거사범불용납 천명은 국민들의 여망이기도 하다.
선거란게 원래 열기를 뿜는다. 과열화할 수 있는 것을 이해못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불법이 용인될 수는 없다. 어느 정당, 어느 후보를 막론하고 이같은 규제에서 일탈이 허용될 수는 없다. 시민단체의 총선개입 또한 현저한 불법행위부터 자유로울수는 없다. 대과없는 막판 선거운동 사흘이 되기를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