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가장 인접해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민간건설업체의 주택사업 표적이 돼 되돌릴 수 없는 마구잡이식 개발로 한계상황에 이른 것이 현실입니다”.
최근 고양시 풍동일대 주민들이 고양시와 교육청의 무관심으로 건설업체들이 학교 용지를 확보하지 않은채 소규모 아파트를 마구지어 1천500여명의 초등학생들이 2㎞떨어진 인근 초등학교로의 장거리 통학들을 하고 있다며 진정서를 감사원에 제출하는 등 난개발에 따른 후유증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서울과의 거리가 불과 20분내외에 인접해 비교적 편리한 교통여건을 갖춘 고양시에는 30만명 수용규모의 일산신도시개발이 완료된 지난 96년이후 민간건설업체들이 외곽지역인 대화 및 가좌지구 등 준농림지에 대규모 조합아파트를 잇따라 건설, 개발열풍에 휩싸이면서 난개발에 가속도가 붙기 시작해 시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일산신도시주변에 건립된 아파트만도 1만가구에 이르며 향후 2005년까지 5만가구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그러나 고양시는 급격한 인구 유입에도 교통·교육시설, 도시기반시설 등에 대한 중·장기적인 대책은 물론 난개발을 막고 계획적인 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속수무책인 상태다.
◇난개발 실태
▲본 일산
고양시의 대표적인 난개발지역인 본일산은 지방도 310호선과 국가지원지방도 86호선을 사이에 두고 고양시 북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 동문건설이 1천300가구, 쌍용건설이 500가구 등 모두 3천여가구에 1만2천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또 현대조합 1·2차 1천700가구, 태영 369가구, 대림·삼정건설이 692가구 등 모두 5천가구 2만여명 이상이 오는 2002년까지, 인근 탄현 2지구 등은 올해말까지 약 4천가구 1만5천명이상이 입주예정인 상태다.
그러나 이 일대는 지방도 310호선과 국가지원지방도 86호선이 유일한 도로로 항상 극심한 교통체증을 겪고 있는 가운데 신설도로 계획마저 전무해 교통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또 초·중·고교 등 교육시설이 태부족해 원거리 통학 등 주민불편이 가중되고 있으며 도서관을 비롯 문화복지시설이 전무해 주민의 삶의 질이 저하되는 등 주거환경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풍동지구
일산신도시와 고양공단사이에 있는 이 지역은 현재 성원아파트 1천100가구가 입주해 있으며 오는 2002년 완공예정인 중앙주택조합 270가구를 비롯 2천가구이상이 들어설 예정이다.
특히 주공이 내년중 이 일대 9천100여가구 3만2천명 수용을 목표로, 인근 일산 2지구는 2005년말 완공목표로 7천가구 2만4천500여명 수용을 목표로 공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로인해 이 일대를 연결하는 지방도 310호선의 극심한 교통체증은 물론 교통지옥을 방불케 할 전망이다.
더욱이 인근 풍동지구일대 30만평규모의 고양공단에 프라임산업이 대규모 아파트단지조성을 추진중으로 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이 일대 도로와 서울 진·출입구간에 교통혼잡이 가중될 전망이다.
현재 이 일대는 5천여명이 거주하고 있으나 초등학교가 단 한곳도 설치돼 있지 않아 2㎞정도 떨어진 일산신도시내 위치한 백마초교 등으로 원거리통학을 감수하고 있다.
또한 야산과 농경지로 둘러 싸인채 쇼핑시설 등 문화시설이 전무, 주민들이 일산신도시나 고양시내로 원정을 나가야만 한다.
▲대화 및 가좌지구
고양시 북서부 끝자락에 위치한 대화 및 가좌지구는 현재 동문건설, 프라임산업 등 6개 민간건설업체들이 4천여가구의 조합아파트를 건설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상하수도·교육시설 및 공원 등 도시기반시설 비용부담을 전적으로 건설업체들에 부담시켜 사업성만을 따지는 건설업체측면에서 볼때 체계적이고 양질의 도시기반시설 제공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지역은 자연스럽게 난개발이 이뤄질 수 밖에 없는 실정으로 입주민들은 가까운 일산 신도시내의 사회편익시설들을 무임 승차하게 될 전망이다.
▲기타지역
능곡·벽제·고봉동 등 구도심지를 중심으로 중소규모의 아파트 재건축이 잇따르고 있으나 학교를 비롯 도로 등 도시기반시설이 뒤따르지 못한채 무질서하게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현대조합주택이 토당동일대 650여가구의 아파트를 2002년 8월 완공목표로 공사중에 있으나 초등학교부지를 확보하지 못해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이밖에도 대부분의 주택건설업체들이 학교 등 도시기반시설을 갖추기 어려운 구심도지역이나 준농림지역에 아파트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문제해결 방안
고양시의 경우 일산신도시 건설이후 민간건설업체들이 준농림지에 마구잡이식으로 아파트를 건설, 개발열풍에 휩싸이면서 극심한 교통혼잡과 기반시설부족으로 주거환경이 날로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에 생활터전을 둔 인구가 급속히 유입되고 있는데도 서울과 연계되는 도로개설계획 등 교통대책은 전무한 상태로 향후 입주가 완료된 상태에서의 교통대란은 불을 보듯 뻔한 상태다.
특히 준농림지에 무질서하게 들어서는 아파트단지로 인해 비교적 쾌적한 생활환경을 갖춘 일산신도시의 교육·공공시설 등 사회편익시설이 장기적으로 과부화상태에 이르러 도시기능자체의 한계성에 부딪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들은 장기·종합적인 일관된 정책대안제시없이 그때 그때 문제가 생길 때마다 임기응변식의 짜집기 계획으로 일관해 겉잡을 수 없는 도시문제가 야기되고 있는게 현실”이라며 “‘선계획 후개발’의 원칙이 적극 도입된 쾌적하고 조화로운 도시건설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승돈·한상봉기자 sdpark@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