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감정의 뿌리를 찾자면 국토가 영남·호남·기호권으로 각립(角立)됐었던 고구려, 백제, 신라때부터다.
특히 지역 감정은 조선조에 이르러 파벌이 만들어지면서 극에 달했는데 영남계인 동인과 호남계인 서인 그리고 조선조 후기 정권을 주도했던 노론(시파·벽파) 등이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
8·15 해방, 4·19 혁명 등 격동의 세월을 겪은 지금에도 지역 감정은 더하면 더했지 결코 덜하지 않다.
5·16 때는 ‘경상좌도’, 5·6공 때는 ‘경상우도’그리고 경상우도도 경상좌도도 아닌‘경상도 바닷가 정권’과 지금의 ‘호남도’에 이르기까지 굳이 말하자면 통치권자의 출신지에 따라 그 명칭만 바뀌었을 뿐이다.
권력 유지 수단으로 악용됐던 지역 감정이 이번 총선에도 어김없이 등장해 우리를 슬프게 하고 있다.
각기 다른 정치적 논리하에 지역 감정을 앞세워 지지를 호소하고 있는 각 정당을 우리는 지역당(地域黨)이라 부르고 있다.
이들 지역당은 상대 당을 넘어뜨리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공통점이 있다.
또 지역 주민을 볼모로 해 사건을 조작하기도 하고 남의 약점을 파헤쳐 위협도 하며 때에 따라선 이해 관계로 꾀하기도 한다.
작금의 정치판은 지역 감정과 색깔론을 들먹이면 당연히 당선될 것이라는 낙후된 의식을 가진 정치인이 다수 존재하는게 현실이다.
얼마전 대통령까지 전직 대통령들과 만난 자리에서 “본적지를 없애면 어떻겠냐”고 말했는데 지역 감정 문제로 온 나라가 떠들썩한 지금,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런데도 여전히“우리가 남이냐”며 지역 감정을 열심히 조장하고 있는 장본인.
그들은 정치적 불신과 국민들의 실망이 극에 달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는 모양이다.
/최인진기자 ijchoi@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