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부대 사격장 이전

군부대 사격장내 영농문제가 연초 농번기때마다 ‘된다’ ‘안된다’로 이어져 마치 연례행사처럼 반복되고 있다.

6.25전쟁이후 군작전상 필요한 땅이면 어느 곳이던 징발해 지금까지 사용해오고 있지만 지역이 점차 개발되고 상주인구도 늘면서 주민생활에 끼치는 불편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사격장이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동안 정부시책에 따라 군훈련에 지장이 없는 한도내에서 영농이 허용돼왔다.

이에 부대는 매년 당해년에 한해 영농을 허용한다는 각서를 받아왔고 농민들도 이를수용해 사격장내 영농은 계속해서 이어져 왔다.

그러나 군은 아무런 대책도 없이 올해도 올한해만 영농을 허용한다는 방침아래 사격장내 기동로를 기존 3.5m에서 8.5m로 넓히고 주변에 철조망을 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렇게 기동로를 넓히는 것은 1천500여평의 농경지 잠식과 함께 49만여평에 철조망을 침으로써 많은 국방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따라 주민들은 군부대의 이런 계획들이 영농을 금지토록하는 전초전이라며 사격장 폐쇄운동을 점차 확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사격장 이전은 지역주민들의 숙원이다. 이런때 민·관·군은 머리를 맞대고 주민 편에 서서 생각해보고 주민들을 위하는 일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이는 행정이나 군부대나 모든 정부조직들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조직돼 있고 조직의 목적이 국민을 위해 있기 때문이다.

시작이 반이라는 옛말처럼 지금부터라도 사격장의 이전 문제를 논의, 통일시대에 대비해 한반도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연천=장기현 <제2사회부> khjang@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