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때마다 단골손님으로 등장하여 선거분위기를 흐려놓고 있는 선거브로커들이 이번 선거에서도 역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소위 선거꾼들이라고 지칭되고 있는 이들 선거브로커들은 전국에 걸쳐 수만명이 거의 직업정치인들과 같은 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선거때마다 한몫 보려는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미 각 후보자나 정당에 연결되어 전화 또는 찾아가 돈을 요구하고 있거나 여의치 않을 경우 협박을 하고 있을 정도로 선거에 있어 암적인 존재가 되고 있다.
더구나 최근에는 사이버 공간을 통해 선거꾼들이 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과거보다 더욱 단속하기가 힘들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돈을 요구하는 사례도 있으며, 특히 여론 조사를 가장하여 사이버 공간을 이용하여 특정 후보예상자에게 불리한 여론 조사 결과를 가공하여 돈을 요구하는 사례도 있다고 하니 이는 참으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경찰은 사이버 공간을 통한 불법선거운동을 단속하기 위한 전담팀을 구성하였으나, 수법이 교묘하고 또한 다양한 통로로 전개되고 있어 추적이 결코 쉽지 않다.
선거브로커들은 특정한 정당에 당원으로서 활동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선거때 돈만 주면 후보자나 정당을 가리지 않고 선거판을 흐리는 행태를 연출하고 있어 이들 선거브로커의 단속 없이 공명선거를 실시하기 어렵다. 후보자들도 이들 선거브로커 때문에 선거를 치를 수 없다고 호소하면서 선관위와 검찰 등에게 단속을 요구하고 있을
정도이다.
선거브로커들이 기생하는 것은 후보자와 유권자에게도 책임이 있다. 한표가 아쉬운 후보자 입장에서는 당선을 위하여 이들과 돈 거래를 하면서까지 손을 잡게되며 유권자들 역시 이들을 통하여 선거때 향응 등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후보자와 유권자들이 이들을 철저하게 거부한다면 선거브로커들이 활동할 수 있겠는가. 선관위를 비롯한 관계당국은 철저한 단속을 통해 불법행위를 엄격하게 처리해야 할 것이며, 후보자와 유권자 역시 이들이 선거판에 기생할 수 없도록 유혹을 뿌리침과 동시에 위법사례가 발견되면 고발하여 깨끗한 선거풍토에 앞장서야 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