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교육부는 아무래도 교육행정의 완급을 잘 모르는 모양이다. 교육부장관이 수시로 바뀌는가 하면 그에 따라 교육정책도 우왕좌왕 한다. 도대체 중심이 없다.
내년부터 초·중·고등학교 영어수업을 영어로만 진행토록 의무화한다고 밝힌 것도 그렇다. 영어의 중요성은 이미 알고도 남지만 한마디로 외국어 조기교육에 지나치게 집착한 나머지 너무 서두르고 있다. 우수교사 확보, 교육시설 확충 등 아직도 우리 영어교육에는 개선하거나 재검토해야 할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교육부의 정책을 더욱 이해할 수 없는 것은 2002학년부터 무시험 대학입학제도를 발표한지 1년이 지나도록 원칙만 제시한채 세부기준을 발표하지 않는 점이다. 정작 빨리 처리해야 할 일은 뒷전에 놔두고 있는 것이다.
지난 98년 10월 교육부는 200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선안을 발표하면서 기존의 입시와 달리 개인의 특기와 소질이 존중되는 무시험 입학제도를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2002년 입시 적용을 받는 99년 고교 입학생부터 자율학습과 보충수업을 전면 폐지하는 한편 학교내 특기·적성교육을 강화해 왔다.
그러나 교육부가 최근 기초학습자료로만 활용하고 전형자료에 포함시키지 않기로 했던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당초의 방침을 수정, 대학이 자율적으로 반영하도록 했다.
이러한 변경은 무시험 입학제도를 통한 학교정상화를 추진했던 교육부의 입시방향이 크게 수정된 것으로 특별전형만 확대됐을 뿐 정시모집은 기존 입시제도와 크게 다르지 않은 내용이다.
일선 고등학교들은 물론 2002년 무시험입시를 준비해온 고교 1년생과 학부모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일부 대학들이 기초자료로만 활용키로 했던 수학능력시험반영비율을 중요한 전형요소로 활용키로 방침을 정해 더욱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이다.
무시험 대학입시제도를 시행하겠다더니 당초 발표와 달리 또 다시 수능 반영을 대학에 맡긴 교육부의 방침으로 기존의 입시준비로 되돌아가야하는 고등학교들이 지금 극심한 혼란에 빠져있는 실정이다.
2002년부터 전면적인 무시험 대학입시제도를 시행할 것인가. 교육부는 이 문제부터 명백히 밝힐 것을 촉구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