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절기도 놓칠 수 없다 가디건으로 멋내기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간절기, 코트가 무거워 보인다면 카디건이 제격이다.

깃 없이 앞을 단추로 여미게 된 이 박스형 스웨터는 19세기 영국 귀족인 카디건경의 재킷에서 유래한 전통 패션 아이템이지만, 요즘 시중에는 갖가지 변형된 형태로 나온다. 올봄 눈에 많이 띄는 카디건의 종류를 소개한다.

▲전통적인 카디건= 박스 형태로 앞면에 마름모꼴의 체크 문양이 있다.

전통적 느낌을 주는 옷차림에 무난하다. 여성복에서는 안에 받쳐입는 스웨터와 세트로 나오기도 한다. 보통 동색계열로 안이 목 폴라 니트웨어인 경우가 많다.

▲코트를 대신하는 카디건= 기장이 허벅지까지 올 정도로 길다. 모자까지 달린 디자인은 외투를 대신해 경쾌한 느낌으로 입을수 있다.

코트보다 입고 벗고 간수하기가 편리하다. 몸이 다소 부풀어 보일수 있는 니트조직이 대부분이므로, 안에는 ‘날씬하게’ 입는 것이 좋다.

▲장식이 달린 카디건= 화려하게 변신한 카디건이다. ‘IMF 터널’을 탈출, 의상들이 고급화하면서 올해부터 부쩍 시판이 늘었다.

깃, 안감, 소매 부분에 털이 달린 제품이 많다. 털은 얼룩말이나 호피를 흉내낸 인조털도 있지만 실제 여우, 밍크, 토끼털이 사용되기도 한다. 같이 입는 상·하의도 비슷한 분위기로 맞추는 게 의상 배합에서 실패할 확률이 적다. 유행을 타는 디자인이라는 점에 유의한다.

▲이국적인 카디건=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중동지방의 민족 의상에서 찾을 수 있는 독특한 색, 소재, 수공예 장식을 넣었다. 지난해 가을과 겨울의 인기 여세를 몰아 올 봄에도 유행이 전망된다.

아메바 문양, 자수, 구슬, 인디언식의 밑단 술(프린지) 등의 장식이 많이 활용되며 색채는 갈색이 도는 오렌지, 카키, 빨강 계열이 강세다.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