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0년 ‘범죄와의 전쟁’이후 ‘양은이파’등 굵직한 기성 폭력이 붕괴되자 그 빈자리 여기 저기에 신흥조직이 뿌리를 내리고 더구나 ‘무서운 10대’들까지 범죄조직을 구성하고 있어 사회를 불안케 한다.
경찰청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올 1월 중순까지 50일동안 전국에서 검거한 신흥폭력조직 57개파 4백48명 등 총 7백88명 중 10대후반에서 20대초반이 77.3%인 6백9명을 차지했다. 이 가운데 10대 조직폭력배는 모두 2백13명으로 전체의 27%에 달하고 있다.
10대들의 조직폭력은 아직 유흥업소 등을 상대로 강도짓을 벌이거나 조직간의 구역싸움 정도에 그치고 있지만 조직폭력의 생리상 살인 등 흉악범죄로까지 흉포화할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더 크다.
10대들의 조직범죄화 경향의 일부분은 학교불량서클에 그 탯줄을 대고 있다. 학교내외에서 다른 학생들을 상대로 단순한 금품갈취와 폭력을 휘두르다가 결국 정상적인 학교교육에서 일탈하는 것이다.
폭력조직에 일단 가입하면 말단 행동대원으로 활동하게 되면서 다른 조직과 경쟁하기 위해 조직원을 늘리려고 학교후배들을 끌어들이는 악순환이 거듭된다.
폭력조직에 가입한 10대들은 처음엔 행동대원으로 활동하게 되지만 ‘실력’을 쌓고 관록이 붙게 되면 스스로 조직까지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10대들의 폭력이 우려스러운 것은 이들이 나이가 어려 겁이 없는 데다 폭력전과를 무슨 훈장처럼 생각하는 무모함 때문이다.
범죄연령이 점점 낮아지는 경향은 폭력배를 영웅시하는 영상물의 범람도 그 원인중 하나다. 또 꿈과 이상을 키워주기보다는 배금주의를 부채질하는 사회현상이 10대들로 하여금 노력과 땀으로 인생을 일구기보다는 쉽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폭력에 철없이 멋을 느끼는 10대들은 ‘폭력배는 언젠가 자신의 폭력으로 당한다’는 조직폭력세계의 생리를 모른다.
학교와 교사들이 교외에서의 10대 폭력을 예방하는 일은 사실상 어렵지만, 그러나 교내 폭력과 비행은 학교의 노력으로 차단이 가능하다고 본다. 10대 폭력이 학교에서 발생하지 않도록 선도에 적극 앞장서야 할 때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