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홍수속 구인난

실업홍수속 구인난이라는 기형적 인력구조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IMF이후 쏟아져 나온 실직자와 노숙자들이 아직도 거리를 헤매고 있는 터에 이른바 3D업종 중소기업에서는 일손이 모자라 애를 태우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힘들고, 지저분하고, 위험한, 소위 3D업종 중소기업이 사람을 못구해 어려움을 겪어온 것은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경제불황으로 일자리를 잃은 2백만명중 상당수가 아직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방황하는 지금도 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는 것은 뭔가 잘못돼도 한참 잘못된 것이다. 특히 3D업종뿐 아니라 첨단업종도 인력부족 현상을 보이는 것은 보통 심각한 일이 아니다.

중소기업청이 1천1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99년 하반기 인력실태조사를 보면 이들의 인력부족률은 5.2%로 나타났다. 이는 상시종업원이 100명일 경우 평균 5.2명이 부족한 것으로 중소제조업 전체로는 10만명이 부족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중 통신 광학 등 첨단업종 인력부족률이 6.7∼7.6%나 된다.

실업자가 넘쳐나는 상태에서 이같은 기현상이 나타난데 대해 우선 정부의 실업자 대책을 나무라지 않을 수 없다. 예컨대 정부의 고용대책중 공공근로사업같은 것은 실직자에 생활보조금을 나눠주기 위한 형식적 행사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막대한 국가재정이 이들 사업에 쓰이는 동안 3D 및 첨단업종 기업들은 구인난을 걱정하고 있다. 실업대책 자금중 일부를 수요자 중심의 직업훈련에 할애했더라면 인력난과 실업해소를 부분적이나마 함께 실현할 수 있었을 것이다. 3D 및 첨단업종의 인력난을 미리 감안해서 실직자 지원사업과 연계시키지 못한 것은 근로당국의 잘못이다.

3D업종을 기피하는 일부 사회분위기도 바람직하지 않다. 노동력을 갖고 있는한 노숙보다는 건전한 산업현장을 찾겠다는 정신과 노력은 가치있는 것이다. 우리 주변에는 어려움을 감내하면서 묵묵히 일하는 3D종사자들이 얼마나 많은가.

당국은 실업대책을 재정비하고 효율적으로 집행해야할 때다. 산업현장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실업자 데이터 베이스 구축 등 실업대책 전달체계를 완비한다면 재정도 절약되고 실직자 흡수효과도 클 것이다. 그것은 바로 경제난을 극복하는 하나의 방편이기도 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