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을 지키자<2> 엄마는 외출중

가정주부란 아무리 어려운 형편에서도 꿋꿋이 살아가며 모성을 바탕으로 자녀를 훌륭히 길러야 할 가정의 기둥.

그러나 일부 가정주부들은 남편의 무관심 등을 이유로 생활에 무력감을 느낀 나머지향락의 돌파구를 찾아 나서면서 ‘가정의 순결’이 송두리째 흔들리고 있다.

결혼 10년차에 초등학교 1학년에 다니는 자녀를 둔 이모씨(35·여).

그녀는 지난 3일 오후 2시께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R커피숍에서 남자친구를 소개 받았다.

이씨는 “남편이 사회생활로 정신없이 바쁘고 아이는 학교가 끝나도 학원수강 등으로 저녁때가 돼야 귀가해 가정생활에 정체성을 느꼈다”며 “남자친구를 만난뒤 부터는 따분한 시간을 메우고 스릴도 느낄 수 있어 좋다”고 심경을 밝혔다.

자신이 타고온 차를 주차장에 주차한 이씨는 남자친구와 인근 모텔로 발걸음을 옮겼다.

건축업을 하는 남편과 6살박이 아들을 둔 주부 김모씨(37·여·수원시 장안구)의 경우도 이유는 마찬가지.

김씨는 지난해 12월 다람쥐 쳇바퀴처럼 도는 가정생활에 염증을 느껴 친구들과 나이트 클럽에서 남자들과 부킹을 했다.

그날 이후 김씨는 자녀를 놀이방에 보내고 남편이 직장에서 일하고 있는 시간대를 이용, 남자친구를 만나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이처럼 무기력한 가정생활에서 벗어나려는 가정주부들의 움직임이 사회문제화된 지 이미 오래다. 갈수록 다변화되는 사회속에서 대화의 채널이 막히고 자신의 외소함을 느껴가면서 이같은 충동은 쉽게 주부들의 마음속을 파고 드는 것이다.

이에따라 가족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일깨우는 구성원들의 대화와 노력과 함께 비뚤어진 가정윤리를 바로잡는 범사회적 노력이 새천년의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수원여성회 회장 한옥자씨는“사회가 다변화 되면서 부부와 자녀간의 대화가 없어진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며“건전한 가정과 사회의 도덕적 기강을 바로잡기 위한 범국민적 운동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창학기자 chkim@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