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재회담의 ‘핵심’

정치개혁은 제도와 의식개혁이 병행돼야 한다.

제도가 아무리 좋아도 이를 운용하는 의식이 개선되지 않으면 정치개혁은 결코 성공할 수 없다. 제도개혁에 편중된 정치개혁이 그나마 지극히 지지부진하면서 의식개혁은 실종된 가운데 올 벽두에 여·야가 정치복원을 강조하고 나섰다. 이는 정치의식의 개혁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보아 일단은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그러나 말에 대한 신뢰성을 이미 잃은 정치권이 얼마나 실천에 옮길 것인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우리가 연초벽두, 이번 주중에 가질 것으로 알려진 여·야 총재회담을 새삼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그들 스스로가 강조한 정치복원의 시금석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제 더이상 과거잡기의 족쇄로 미래발전을 막는 구세기적 정쟁을 바라지 않는다. 누구인들 과거가 온전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저변의 사회정서다. 그런데도 역대 정권의 발목잡기는 거의 일방적 플레이로 이루어져 말하자면 불공평한 게임이었다. 현 집권층 역시 그같은 공포를 경험하였으면서 여전히 구태를 계속 답습한다면 밀레니엄 화합의 표방에 합당하다 할 수 없다.

여·야총재회담은 정치발전의 틀을 새롭게 짜는 협상의 내실이 담겨야 그 가치가 있다. 정치협상은 제반 현안에 대한 상호 시각의 장단점을 보완하는 작업이다. 무엇이든간에 자신의 생각만이 절대로 옳을 수는 없으며, 누구이든간에 그같은 아집을 갖는다면 민주적 사고방식에 반하는 독선이다.

우리는 이번 여·야총재회담만은 지난 예와는 달리 진정 정치복원의 획기적 전기를 마련하는 성과가 있기를 기대한다. 만일에 그렇지 못하고 또 겉모양새로 끝나면 정치권은 공멸의 국민적 지탄을 면치 못한다. 새천년의 새 시대에 들어섰으면 정치도 이젠 현실 민생문제와 아울러 미래의 청사진을 두고 싸워도 좀 그럴듯한 싸움을 해야 국민이 희망을 갖는다. 이같은 정치품질의 개혁이 이번 여·야총재회담의 핵심이 돼야 한다. 이는 또 정국을 주도할 책임이 있는 집권여당쪽에 더 막중한 사명이 부하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