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드라마

한국텔레비전방송연기자협회에 가입된 탤런트가 약 8백명이다. 이 가운데 배역을 갖는 출연자는 평균 2백여명이다. TV3사의 드라마 편성률은 높다. 주간 방송시간대의 27%가량을 드라마가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도 배역을 갖는 탤런트는 4분의1밖에 안된다. 항상 4분의 3은 배역이 없는 잠재실업자인 셈이다. 드라마출연이 없으면 수입이 없다. 탤런트들에겐 방송사가 출연여부에 관계없이 전속금을 주는 전속계약제가 없다.

배역 따내기가 가히 경쟁적이다. 톱스타급을 제외하고는 배역얻기가 쉽지 않지만 따지고 보면 톱스타들도 사정은 비슷하다. KBS별관이나 MBC, SBS로비는 이를테면 탤런트들의 사랑방이다. 따로 탤런트방이 있긴 있어도 대개는 로비에서 지낸다. 로비라지만 소파며 탁자같은 응접세트가 수십개가 놓여 마치 개방형 응접실 같다. 커피도 마시고 한담을 나누며 시간을 때운다. 새로운 배역자리를 두고 혼자 신경을 쓰던 PD가 지나다가 마침 적역을 발견하곤 하는 곳이 바로 로비다. 로비는 탤런트들의 캐스팅장소이기도 하다.

이런 일이 있었다. “감독(PD)이 마침 잘 만났다며 당신 고정(고종)이니까 이따 보자고 해서 연속극에 고정출연이란 말인줄 알고 갔더니 고종왕 역할이었다”는 것은 그 탤런트의 얘기다.

새천년을 맞는 연말연시를 앞두고 탤레비전방송마다 특집극이 쏟아져 나온다. 특집극은 비록 단막극일지라도 배역의 활성화에 조금은 숨통이 트인다. 그렇긴 하나 식상한 국내 텔레비전 드라마의 세가지 병폐가 제발 시정되면 좋겠다. 엿가락처럼 늘리기, 비슷비슷한 소재, 그 얼굴이 그 얼굴인 것은 고질적인 3大 병폐다. /白山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