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독도침공을 소재로 한 가상 소설 ‘독도전쟁’(명상)이 출간됐다.
저자인 홍윤서씨는 한국 육군 방공포병사령부 미 군사원조 기획 장교, 사우디국방성 미사일 담당 고문 등을 지낸 군사전문가이다.
그는 한일간에 끊임없이 분쟁이 일어나고 있는 독도의 소유권 문제를 바탕으로 가상소설을 집필했다.
홍씨는 이 작품을 통해 강대국간의 실리논쟁으로 인해 독도에 일장기가 꽂힐 수도 있음을 사실적으로 경고한다.
이번 작품은 독도의 상실과 회복, 독도전쟁을 배경으로 이루어지는 강대국간의 비밀 정치공작을 축으로 진행된다. ‘독도전쟁’은 한반도가 통일돼 평화의 무드가 조성되고 있는 시점에서 시작된다.
친일인사로 알려진 미 대통령의 비서실장이 독도 해저에 석유가 대량 매장되어 있다는 정보를 일본에 제공하고 미 정부는 다음 해 대통령 선거 재선에 쓰일 정치자금을 지원받는다.
또 일본 정부는 독도 해저에서 나오는 석유의 40%를 미국에 제공하는 조건으로 일본의 독도점유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밀약을 미국 정부와 체결한다.
하지만 미일간의 밀약이 한국 정보기관에 의해 발각되면서 일본 정부는 자국내극우세력을 동원, 독도를 무력으로 점령한다.
한국 공군과 해군은 곧바로 독도탈환 작전에 나서지만 역부족으로 대패하고 만다.
이런 와중에 한국 해군 소속 ‘광개토대왕’함 함장인 박선우는 핵 미사일을 함에 장착하고 일본으로 항진한다. 핵 무기를 동원, 일본의 항복을 받아내기 위한 작전인것.
한국 대통령은 박함장에게 국군 최고 통수권자의 자격으로 귀항을 명령하지만 박 함장은 이를 거부하고 일본 부두에 닻을 내린다.
박함장은 결국 일본 정부의 항복을 받아내지만 한국으로 돌아오는 길에 ‘국군통수권자의 명령을 거역하고 국가를 일시적으로나마 위험에 빠뜨린 나와 같은 군인은 다시는 나와서는 안된다. 결과가 좋았다고 해서 불법적인 과정을 용서해서는 안된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자결한다./연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