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철없고 자기밖에 모르던 십대 소년에서 내실 있는 청년운동단체의 대표로 탈바꿈할 수 있었다면, 여러분도 여러분의 학교와 이웃과 지역사회를 더 나은 곳으로 바꿀수 있습니다.’
이는 미국 사회에 개혁의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환경운동가 ‘대니 서’(22, 한국이름 서지윤)가 청소년과 학부모에게 전하는 희망의 메시지이다.
소수민족인 한국계 이민 2세이자 최종학력 고졸, 졸업성적은 꼴찌였던 대니 서가 각광받는 환경운동가로 변신할 수 있었던 행동철학과 환경운동 노하우를 담은 ‘행동하는 세대」’와 ‘‘작은 실천’이 세상을 바꾼다’가 문학사상사에서 출간됐다.
모범생이었던 형이나 누나와는 달리 학교 공부는 뒷전이었던 개구쟁이 대니 서는 열두 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단돈 23달러를 갖고 ‘지구 2000년’이라는 단체를 창단, 8년만에 미국의 가장 큰 청소년 환경단체로 성장시켰다.
그는 이 단체를 통해 인근의 숲을 짓뭉개 버리고 주택을 건설하려는 개발회사를 제지하는가 하면 대형 유통업체를 상대로 모피불매운동을 펼치고 학교의 해부 실습시간을 필수과목에서 선택과목으로 바꾸게 하는 경이적인 일들을 이룩했다.
이런 공로로 대니 서는 지난 95년 알베르트 슈바이처 인간존엄상과 시민단체가 수여하는 올해의 젊은이상을 수상했다. 이어 98년에는 ‘피플’지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50인’으로 선정됐고 99년에는 ‘워싱턴 포스터’특집기사에서 ‘지상에서 가장 경이로운 22세 청년’이라는 격찬을 받았다.
대니 서가 말썽쟁이에서 환경운동가로 변신할 수 있었던 것은 ‘한번 옳다고 생각하는 일은 물불을 가리지 않고 추진해 나가는 강한 의지와 실천력의 소유자’였기 때문이다.
이런 실천력의 원동력은 ‘작은 실천이 세상을 바꾼다’는 그의 행동철학에서 우러 나온다. 대니 서는 ‘한 방울 한 방울의 작은 빗방울이 모여 큰 강물을 이루듯이 작은 실천들이 세상을 바꿀수 있다’고 강조한다.
‘행동하는 세대’는 대니 서가 사회운동을 시작한 계기와 운동을 전개하면서 부딪혔던 어려운 일들을 소개하고 있다. 또 이 세상을 보다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고자 하는 마음이 생겼을 때 그 첫걸음은 어떻게 뗄 것인지와 그 다음에는 무엇을 어떻게 해나갈 것인지를 알려준다.
‘‘작은 실천’이 세상을 바꾼다’는 하루 15분간의 실천이 어떻게 기적을 만들어 내는 지를 풍부한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연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