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부문 전문여성인력 턱없이 부족

현재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 부문의 여성전문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고 여성정보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정부의 지원 또한 매우 미흡하며, 여성 스스로도 이에 대해 매우 수동적이라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21세기 정보화 사회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 방안과 실시로 극복해 나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같은 내용은 YWCA경기지역협의회(대표 정춘자)가 9일 수원시청 대강당에서 마련한‘21세기 정보화사회와 경기여성심포지엄’에서 한국여성개발원 정보자료팀 백영주팀장이 제기한 내용으로 백씨는 한국정보문화센터가 올해 ‘국민생활 정보화실태 및 정보화 인식’에 대해 조사한 자료를 근거로 ‘정보화 사회와 여성운동’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백씨는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점의 대안책으로 ▲정보화를 통해 창조적 지식을 기반으로 국가 건설의 기틀을 마련하고 정보인프라를 조기 구축하는 한편 국가사회 전반의 정보화사업을 소프트웨어 산업으로 육성하는 국가정보화 ▲지역의 행정, 산업, 생활 분야의 정보화 추진을 위한 정보통신 기반 구축, 지역 공공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지역정보화 ▲초·중·고등학교 정보화, 대학의 정보화(도서관 전산화, 학술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 교육전산망 구축), 교육행정 정보화 등의 교육정보화 ▲여성대상 정보화교육, 정보통신기술 부문의 여성전문인력 양성, 여성단체 또는 기관 정보화 기반 조성, 여성정보네트워크 구축, 여성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하는 여성정보화 등 네가지 분류로 나뉘어 21세기 정보화사회의 추진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그리고 “아무리 국가가 정책적으로 정보화사회에 대한 지원을 한다하더라도 여성 스스로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면서 “여성 스스로의 적극적인 의지와 노력이 국가 정책과 잘 조화를 이루면 21세기 정보화 사회의 미래는 밝고 긍정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여성정보화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발표한 김광식 소장(21세기한국연구소)은 21세기 정보화사회에선 NGO(Non Goverment Organaization), 특히 여성NGO들의 역할이 더욱 절실히 필요해 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소장은 “민주화의 진전은 곧 정부영역과 경제계 그리고 시민사회의 영역이 역할을 분담하면서 균형을 이루는 사회로 이동해 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제는 좋은 사회를 만드는 근본적인 책임이 시민사회와 NGO의 영역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말하면서 “시민사회는 주권자의 영역이며 소비자의 세계이고 무엇보다도 생활문화의 세계이기 때문에 발전할 수록 좋은 NGO의 필요성은 21세기엔 더욱 절실해 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좋은 NGO의 일곱가지 조건에 대해 ▲첫째 자율적인 시민사회를 만드는 일을 해야할 것 ▲둘째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역할을 모색해야 할 것 ▲셋째 지역에 뿌리를 내려야 할 것 ▲넷째 회원과 직원, 경영책임자 등의 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경영체제를 형성하고 있어야 할 것 ▲다섯째 직원들은 직업의식과 사명정신을 갖고 있어야 할 것 ▲여섯째 조직 내부에 협동체제와 민주주의가 확립되어야 할 것 ▲일곱째 비전과 목표가 뚜렷해야 할 것 ▲여덟째 인력양성에 노력야 할 것 등을 제시했다.

/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