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대우여파 제2 경제위기 맞아

IMF 관리체제를 벗어나던 인천지역 경제가 대우자동차의 워크아웃으로 제2의 경제위기를 맞고 있다.

28일 인천시와 상공회의소에 따르면 대우 계열사와 협력업체의 연간 매출액은 11조3천52억원으로 인천지역 제조업체 연간매출액(33조4천억원)의 33.8%를 차지하고 있다.

또 고용인원만도 인천지역 제조업체 근로자(21만6천700명)의 18.4%인 3만9천980명에 달하는 등 대우그룹 계열사가 인천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하다.

그러나 지난 7월 대우사태가 터지면서 정부 및 금융채권단이 대우계열사에 대한 워크아웃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매각 및 합병설이 끊임없이 나돌아 근로자들 사이에 고용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또 협력업체들도 대우사태 이후 시중은행들의 진성어음 할인기피 등으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데 이어 대우계열사의 워크아웃 및 매각 등으로 또다시 매출손실 등 전반적인 경영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이같은 대우계열사 및 협력업체들의 불안감은 인천지역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쳐 올들어 IMF를 탈출하던 지역 경제를 또다시 불황의 늪으로 빠뜨리고 있다.

지역 소비척도를 가름할 수 있는 각 백화점 등 유통업계의 경우 지난 4월을 고비로 매출액이 IMF이전 수준을 되찾았으나 지난 8월 이후 각 점포당 매출액이 평균 10% 감소됐으며 인천지역의 식당 등 소점포 역시 전국체전이후 매출이 절반으로 떨어지는 등 대부분의 업계가 침체의 늪을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김창수기자 cskim@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