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문화재단과 세종연구소는 27일 오후 서울시 종로구 한국잡지협회에서‘백두산 지역의 영토에 대한 학술발표회’를 갖고 북한과 중국측에 대해 백두산정계비 탐사 등 공동학술조사를 제의한다.
또 백두산 최고봉의 명칭과 높이 등을 북한·중국과 통일하기 위한 협의추진을 교육부에 건의키로 했다.
가천문화재단과 세종연구소에 따르면 천지를 포함한 백두산 일대의 북한과 중국의 국경선은 1962년에 체결된‘조중 변계조약’과 1964년에 체결된‘조중 변계의정서’에 의해 확정됐다.
이 국경조약으로 천지의 54.5%가 북한 영토에 속하게 됐으며 두만강 상류지역의 국경선이 천지와 두만강의 가장 북쪽 지류인 흥토수 부근을 선으로 확정, 청일의 간도협약에 규정된 석을수 지역 보다는 훨씬 북쪽으로 영토가 확장됐다.
이에따라 양 연구소는 현지답사를 거쳐 최근‘전략연구’11월호에 이 사실을 발표했으며 연구결과에 대한 정부측의 대안마련을 촉구하는 차원에서 이날 학술발표회를 연다고 밝혔다.
이날 양 연구소는 북한·중국과 함께 탐사단을 조직해 정계비 동쪽 계곡을 따라 하산하는 계곡수의 방향 확인과 백두산 천지에 대한 집중적인 생태·지질조사, 국내 중고등학생용 사회과부도 등에 잘못 표기된 백두산 부근의 국경선 수정, 백두산 최고봉의 명칭 통일을 북한·중국과 협의할 것 등을 정부와 교육부에 건의키로 했다.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