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 지원 형식적 운영

인천시의 벤처기업 지원이 형식에 그치고 있다.

이는 벤처기업에 대한 기술평가가 지나치게 까다로울 뿐아니라 연구개발 기반사업 및 벤처기업단지 등 제반여건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11일 시에 따르면 인천지역 벤처기업은 모두 344개로 연구개발분야에 61개 업체가 있으며 벤처캐피탈 투자를 받은 업체 35개, 신기술 개발기업 중 특허를 받은 업체 142개, 신기술 보유업체 22개, 벤처평가를 받은 업체 84개 등이다.

이 가운데 시가 지원대상 벤처기업으로 선정해 융자해 준 업체는 10월말 현재 ㈜색동넷과 그린에너지 기연㈜, 21세기 미술환경연구소 등 13개 업체로 총 융자규모는 13억원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는 당초 시의 올해 지원 예상액 100억원과 비교할 때 크게 저조한 실정이다.

벤처기업에 대한 시의 지원이 이처럼 부진한 것은 금융감독원 산하 기술평가단의 지원심의가 까다롭다는데 주요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시는 벤처기업들의 지원신청을 받아 40여개 업체를 지원대상으로 기술평가를 의뢰했으나 이 가운데 60% 이상이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

시 관계자는 “기술평가단의 심사가 일반 금융대출 업무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신용 불량자 등 과거 금융거래에 문제가 있는 사업자는 지원대상에서 탈락했다”고 밝혔다.

또 벤처기업에 대한 육성정책과 프로그램 부족도 벤처업체 육성에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관련, 인천벤처기업 클럽은 “인천의 주요 사업인 송도 테크로파크와 미디어밸리의 입주 업체들이 주로 벤처기업인데도 인천에는 R&D(연구개발) 기반사업이나 벤처빌딩 하나 없다” 면서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조례를 강화하고 예산 지원대상도 확대해야 한다” 고 주장했다./유규열기자 newfeell4@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