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청과 학교는) 도의적인 책임만 있다고 생각한다. 말조심하고 쓸데 없는 일에 개입지 말라.”
“희생자 부모에게 ‘누가 (학생들에게 유흥업소에) 가라고 했느냐’는 등 유족을 자극 하는 일이 없도록 (일선 선생님들에게 전달) 하라.”
“엄밀히 따지면 우리도 (이번 참사의) 피해자다.”
1일 오전 인천시교육청 대회의실. 지난달 30일 발생한 인천시 중구 동인천동 ‘러브호프’ 참사와 관련해 열린 긴급 고교장 회의에 참석한 80여명의 교육청 고위직 간부와 교장들은 대책마련보다는 책임회피에 급급한 발언을 경쟁적으로 했다.
이에앞서 피해현황과 문제점 및 대책 등 일련의 회의진행을 마치고 이번 참사에 대한 의견을 묻는 회의 주제자의 물음에 입을 굳게 다물던 것과는 너무나도 상반된 모습이었다.
학생생활지도 강화 방안을 마련키 위해 전날 부랴부랴 소집령을 내린 교육청 간부와 아침 일찍 교육청에 모인 교장들은 이날 스스로 교육자이기를 포기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꽃다운 나이의 제자 51명이 싸늘한 주검으로 변했지만 스승들은 모든 책임을 ‘사회의 탓’으로 돌리려는 무책임한 발언을 남발할 뿐 ‘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참사가 벌어졌으며, 앞으로도 이런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학교교육의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회의장을 속속 떠나고 말았다.
결국 이날 회의에서 얻은 결론은 교육청측이 급조한 학교장 및 담임 훈화교육 실시, 교외 생활지도 강화, 학생 특기·적성교육활동 강화 등에 불과하다.
토요일 오후 1시 퇴근 뒤 2∼3시간에 불과한 수박 겉핥기식 교외생활지도와 교내축제의 어두운 이면, 학생들의 유흥업소 출입을 막지 못한 솔직담백한 자성의 목소리는 오간데가 없었다.
“생활지도는 해당 파트 교사외에, 담임은 자기반 학생외에는 무관심하다” 는 어느 교육청 간부의 교육현장 경험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별취재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