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생산돼 일반 수술 등에 사용됐던 혈액제제가 최근 A형간염 바이러스 감염문제로 뒤늦게 사용중지명령이 내려지자, 그동안 수술등으로 혈액제제를 사용했던 경기도내 병원과 환자들이 불안감을 표출하는 등 혈액제제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과 도내 병·의원들에 따르면 식약청은 지난 9월28일 N제약사가 지난해 10∼11월에 생산한 혈우병 치료제에서 A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이 우려된다는 역학조사에 따라 혈우병치료제를 비롯, 치료제 생산 당시 동일한 혈장으로 생산된 알부민, 감마글로블린 등 12개 혈액제제에 대해 봉함, 봉인토록 조치했다.
또 이들 제품에 대한 정밀역학조사에 들어갔으나 최종 결론이 나기위해서는 2개월이상 소요될 전망이다.
이에따라 10여개월 동안 문제가 되는 시기에 N사가 생산한 혈우병 치료제와 알부민 등의 혈액제제를 사용했던 환자들이 2차감염에 크게 불안해 하고, 병원들도 감염에 따른 책임문제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또 혈액제제는 우리나라에서는 N사와 D사에서만 제조되고 있으나 알부민 등 혈액제제는 수술뒤 혈액생성 촉진 등에 널리 사용돼 평소에도 수급이 모자라는 품목이어서 혈액제제 파동을 계기로 병원들이 약품 확보에 나서고 있다.
N사 관계자는 “식품의약청이 역학조사를 근거로 사용중지명령을 내렸으나 회사 자체적으로 일본 등지에 검사를 의뢰해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명돼 이의를 제기한 상태”라며 “특히 알부민 등 혈액제제는 열처리 등을 통해 전염성 바이러스는 모두 제거하기 때문에 2차감염 우려는 없다”고 말했다.
수원 A병원 관계자는 “최종 결론이 나기까지 뭐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환자나 병원 모두 불안한 것은 사실이다”며 “중요한 약품의 안전성 문제가 10개월이나 지난 뒤에 조치되는 것은 의약체계에 허점을 드러낸 것”이라고 말했다./최종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