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 도심건물 공실률 하락

최근 경기회복에 힘입어 경기·인천지역 도심내 사무실 공실률(연면적에 빈사무실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줄어드는 가운데 임대료는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경기·인천지역 건물 임대관리업체에 따르면 IMF이전인 97년말 경기·인천지역 건물내 공실률이 10∼20%미만이었으나 지난해 지속되는 경기불황으로 기업의 잇따른 부도와 감량경영 등으로 건물내 빈사무실이 크게 증가, 평균 30∼40%정도의 공실률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올들어 대부분의 건물주들이 IMF이전보다 임대가격을 평균 20∼30%정도 내린데다 꾸준한 경기회복세에 힘입어 공실률이 10∼20%선으로 줄어들고 있다.

또한 시내 빌딩 곳곳에서 볼수 있던 임대플래카드도 눈에 띄게 줄었다.

수원지역의 경우 지표상 지역경제가 회복되고 있는 가운데 하반기들어 사무실 이전수요와 맞물리면서 지난 상반기에 비해 공실률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

내년 경기활성화에 따른 임대가 상승을 우려해 올 하반기가 사무실 이전이 적기라고 판단한 기업이나 단체도 사무실 수요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준공된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소재 국민생명 빌딩은 지하 2층 지상 14층 연면적 2천100평으로 지난 6월까지 50%의 공실률을 기록했으나 최근들어 사무실 입점이 늘면서 공실률이 25%까지 줄은 상태다.

지하 4층 지상 14층 연면적 8천300여평 규모의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삼성생명 빌딩의 경우 지난해까지만해도 기준층이 평당 250만원이던 평당 임대가를 올들어 150만원대로 내려 임대, 올초 30%대에 이르던 공실률이 현재 10%대로 줄었다.

지하 3층 지상 9층에 연면적 3천200여평 규모의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동아생명 빌딩은 상반기 30%에 육박하던 공실률이 사무실 입점이 늘면서 공실률이 거의 없는 상태다.

또한 상가 및 사무실 밀집지역인 동수원일대 빌딩 및 상가의 경우 건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