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시대 전통무예 펼쳐진다

24반무예·택견·마상 6기 등 200년전 정조시대 전통무예가 재연돼 관심을 끌고있다.

경기문화재단은 제36회 수원 ‘화성문화제’ 기간중인 9일 오후2시 화성 연무대에서 전통 무예 관계자 4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화려하고도 장엄한 조선 정조시대의 전통무예를 그대로 재연한다.

정조시대의 조선은 다양한 변화와 개혁이 이루어진 격동기로 정조는 개혁의 기반을 군권장악에 두고 친위군력 강화에 치중했다. 장용영을 최대 군영으로 만들고 화성 축조를 하고 거창한 능행차를 했다. 정조의 능행차는 효행을 명분삼아 친위세력의 결집과 군사훈련, 그리고 민심을 주도하며 강력한 왕권을 과시하는 일종의 정치적 시위였다.

정조는 상무(尙武)정책을 펴므로써 군사적 유용성과 함께 무의 진취성을 사회전반에 고양해 개혁의 원동력으로 활용하고자 했는데 이런 과정에서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가 편찬되고 24반 무예며 궁술, 택견 등의 전통무예가 장려되었다.

실학파들이 만든 ‘무예도보통지’는 조선에 전통적으로 전해오는 무예에다 임진왜란·병자호란 등을 통해 이 땅에 전해진 중국·일본의 무예를 합해 24가지 무예(24반 무예)로 정리한 군사훈련용 교범. 임진왜란은 당시 명나라, 일본, 조선의 신무기와 신전투 기법들이 총동원된 전쟁이므로 ‘무예도보통지’에는 당연히 검술, 창술 등이 있고 최신 무기, 기법들이 망라돼 있다.

24반 무예는 장창·죽장창·기창(旗槍)·당파·기창(騎槍)·낭선·쌍수도·예도·왜검·제독검·본국검·쌍검·마상쌍검·월도·마상월도·협도·등패·권법·곤방·편 곤·마상편곤·격구·마상재 등을 말한다.

이로 인해 정조시대에는 열등한 대우를 받던 무반의 지위가 향상되고 민간에서는 무과를 통해 신분상승을 도모하는 기운이 거세게 일어나 가히 무예문화의 르네상스를 이룩했는데 이번에 그 장엄한 24반 무예의 실체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번 무예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