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탄압’을 둘러싸고 여야가 진검승부를 벌이고 있다.야당은 그동안 수많은 호재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던 차에 이번 중앙일보의 ‘언론탄압’ 주장에 대해서는 일찌감치 손을 들어주었다.
지난 고양시장보선 패배 이후 다소 고민에 빠져있던 지도부로서는 이번 사건이 제대로만 된다면 ‘옷로비사건’이나 ‘조폐공사파업유도사건’만큼 파괴력이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내년 총선에서 ‘표’가 되는 꺼리가 될 수도 있다는 판단이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4일 총재단.주요당직자 연석회의에서나 국회 문화관광위 국감에서도 이 문제를 쟁점화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반면 국민회의는 홍석현사장 개인 비리에 대한 정당한 법집행임을 강조하는 한편 중앙일보와는 무관한 일이라며 언론탄압설을 전면 부인,‘정정당당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자칫 거대언론사와 야당의 주장에 밀릴 경우 이전의 어떤 악재보다도 ‘심각한 사황’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판단때문이다.
이같은 여야의 싸움은 문광위의 문화관광부에 대한 국감에서 잘 드러났다.
문광위는 이날 당초 예정된 국감일정 대신 중앙일보 사태와 관련 언론탄압시비를 둘러싸고 여야간 뜨거운 공방이 이어졌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홍사장의 구속은 정부의 언론간섭과 탄압”이라고 주장하면서 박지원문화광광부장관의 사퇴와 함께 김대중대통령의 사과, 박준영청와대공보수석의 문책을 요구했다.
또 중앙일보에서 확보하고 있다는 정부의 언론탄압 관련 녹취물을 증거로 제출할 것과 박수석과 금상태 전중앙일보부사장등 관련자들을 증인으로 채택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에대해 국민회의와 자민련 의원들은 “홍사장의 구속은 탈세와 관련한 개인비리를 처벌한 것인데도 중앙일보가 마치 언론탄압인양 호도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언론사 사주라고 비리혐의가 있는데도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