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 귄터 그라스 영예

금세기 마지막 노벨문학상 수상의 영예를 차지한 독일의 원로작가 귄터 그라스(72)는 정치적으로 인도주의와 진보에 몰입한 전후 독일 작가 세대의 대표적 인물이다.

1927년 발트해 연안의 항구도시 단치히(현재는 폴란드의 그다니스크)에서 식료품가게를 하는 소시민의 아들로 태어난 그라스는 어린 시절 나치 출현과 2차 세계대전을 목격하며 성장했고 실제로 전쟁에 참전, 연합군의 포로가 되기도 했다.

광산 노동자로 일하기도 했던 그라스는 문단 데뷔 전 전 파리에서 조각가로 활동했으며 1955년 처음으로 시와 소묘를 모아 책을 펴냈다.

4년후 그라스는 제3제국 시절 동프러시아를 배경으로 성인이 되기를 거부하는 한 아이의 눈을 통해 한 가정의 힘겨운 가족사를 풍자적으로 묘사한 ‘양철북’을 발표, 일약 세계적인 작가로 발돋움했다.

그는 이후 게오크 뷔흐너 상, 토마스 만 상 등 수많은 상을 수상했으며 현실 정치에 대해서도 예리하고 거침없는 충고를 던져 독일 사회의 원로로 추앙받고 있다.

그라스는 ‘양철북’ 이후 ‘고양이와 쥐’(1961), ‘개들의 시절’(1963)를 발표했으며 1969년에는 훗날 소심한 개량주의자로 변신한 젊은 혁명가의 소아적 호전성을 주제로 다룬 ‘국부마취를 당하고’로 큰 호응을 얻었다. 이어 ‘어느 달팽이의 일기’(1972), ‘두뇌의 산물-독일인들이 멸종한다’(1980), ‘광야’(1995)를 발표했다.

시집으로는 ‘풍향계의 장점들’ ‘궤도의 삼각선’이 있다.

그는 1969년 한 인터뷰에서 자신을 “절대적 목표를 정해 놓으려는 어떤 신념도 공격할 정도로” 모든 종류의 이념을 혐오하는 인도주의자라고 규정했다.

60년대 소비자운동과 독일 젊은이들중 일부를 열광시켰던 혁명적 폭력에 대해서도 비판을 아끼지 않았던 그라스는 독일내 핵미사일 배치에 반대하는 호전적 평화주의자였으며 사민당(SPD)의 비판적 지지자였다.

지난 30일 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