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2 (수)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경기도 민선 8기 3년 결산, 세계가 주목한 ‘기후경제’...대한민국의 미래 설계

image
민선 8기 경기도 3년 결산-기후 관련 그래픽. 경기도 제공

 

민선 8기 경기도가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도정 방침에 따라 기후대응을 넘어 기후경제라는 새로운 전환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

 

26일 도에 따르면 도의 기후정책은 지난 3년간 ▲경기 RE100 ▲3대 기후 프로젝트(기후보험·기후위성·기후펀드) ▲도민참여형 기후행동이라는 전략 축을 중심으로, 전국을 넘어 국제사회에서도 주목받는 모델을 완성해 나가고 있다.

 

지난 2월 김 지사는 ‘기후경제 비전선포식’을 통해 이러한 방향성을 천명하며, 민선 8기 경기도가 추진해 온 핵심 정책들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경제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먼저 ‘경기 RE100’은 도가 전국 최초로 시작하고, 가장 많은 성과를 낸 기후전환 전략이다. 공공·기업·도민·산업까지 4개 분야를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확대는 물론 도민 참여 기반도 함께 넓혔다.

 

지난해 2월 의정부 경기도북부청사 유휴부지에 ‘공공기관 RE100 1호’ 태양광 발전시설이 들어섰고, 이를 시작으로 총 50개소에 약 20㎿ 규모의 설비를 구축하는 사업이 진행 중이다. 특히 도민 3만3천여명이 협동조합 출자자로 참여해 수익을 공유하며, 에너지전환과 지역순환경제를 연결하고 있다.

 

산업 부문에서는 2023년 7월 SK E&S 등 8개 민간 컨소시엄과 4조원 규모의 투자 협약을 체결하고 ‘산단 RE100’을 본격화했다. 혁신기술 기반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기후테크 RE100’ 전략도 성과를 내고 있다. 연간 43개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화 자금과 홍보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 중 일부 기업은 ‘2025 에디슨 어워즈’ 금상과 ‘비바테크 2025’ Tech Trail 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세계 무대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이와 함께 도는 지난해 4월 전국 최초로 도민 전체를 자동 가입 대상으로 하는 ‘기후보험’을 시행했다. 폭염·한파에 따른 질환, 감염병, 기상특보 상황에서 발생한 사고 등에 대해 별도 신청 없이 정액 위로금이 지급된다.

 

이 정책은 단순한 보험을 넘어 기후로 인한 불평등과 취약을 해소하는 ‘기후복지’ 모델로 확장되고 있다. 도는 기존 건강 중심 보장을 넘어 도시침수·농작물 피해·재산 손실까지 포함하는 통합형 ‘기후보험+’ 모델을 제안하며, 풍수해보험·농작물재해보험과 연계, 도비 지원, 복구금 지급 등 복합 설계를 추진 중이다.

 

기술 영역에서도 경기도는 국내 최초로 광역지자체 단위의 초소형 ‘기후위성’ 3기를 개발 중이며, 이 중 ‘경기기후위성 1호기’는 2025년 하반기 발사를 앞두고 있다.

 

도민이 텀블러 사용, 대중교통 이용 등 일상 속 탄소중립 실천을 앱으로 인증하면 월 단위 포인트로 보상받는 ‘기후행동 기회소득’ 제도 역시 기후정책의 하나로 도민을 찾았다. 시행 1년 만에 가입자 수는 128만명을 돌파했으며, 광역지자체 앱 기반 정책 중 최고 기록을 세웠다.

 

이 외에도 도는 1회용품 줄이기 캠페인을 도청과 산하기관뿐만 아니라 음식점, 축제, 장례식장, 체육시설 등으로 확산시키고 있다.

 

김 지사 역시 국제사회에서 기후전환 정책으로 주목을 받았다. 김 지사는 유엔 기후행동(UN Climate Action)이 선정한 전 세계 11인의 ‘로컬 리더즈(Local Leaders)’에 대한민국 인사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고, 세계경제포럼(WEF)은 도를 ‘청정에너지 혁신의 허브’로 소개하고 있다.

 

김 지사는 “기후정책은 단지 환경을 위한 정책이 아니라, 산업, 기술, 복지, 국제협력이 결합된 통합적 경제전환의 전략”이라며 “경기도는 말이 아닌 실행으로 대한민국 기후경제의 방향을 증명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