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1 (화)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식민지배 출판검열, ‘불령(不逞) 도서’ 불씨를 당기다”…‘불량한 책들의 문화사’ [신간소개]

잡지나 책, 신문 등 출판은 어떤 분야보다도 시대 변화에 민감하다. 단어 하나, 표현 하나, 제목 하나에도 뜯어볼수록 무엇하나 허투루 쓰인 것은 없다는 점을 알게 된다. 그렇기에 출판물을 읽으면 그 시대가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욕망을 읽어낼 수 있다. 어떤 출판물은 시대를 앞서나가는 정신을 제시한다. 또 어떤 출판물은 시대의 흐름을 타고 꽃을 피워내기도 한다. 억압과 검열은 반대급부로 불령(不逞)의 도서에 관한 열정을 불태우게 만든다. 

 

도서 ‘불량한 책들의 문화사’ (푸른역사)
도서 ‘불량한 책들의 문화사’ (푸른역사)

 

지난 15일 출간한 ‘불량한 책들의 문화사’(푸른역사)의 저자 고영란 교수는 제국의 근현대사를 이해하기 위해 출판문화만큼 훌륭한 재료는 없다고 말한다. 저자는 일본에서 근현대 문학을 강의하는 인물로 2010년부터 출판물들의 생존 방식에 주목해 왔다. 일본제국의 근대사 다시 쓰기를 주장해 온 저자는 ‘전후라는 이데올로기’, ‘검열의 제국’ 등 책을 펴낸 바 있다. 이번 작품에는 1900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출판사가 신문사의 경영인, 편집인의 회고록, 일지, 경영자료 등을 닥치는 대로 조사한 지은이가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의 제국 연구가 가진 한계를 뛰어넘고자 한다.

 

■ 제국의 근현대사, 출판문화로 맥을 짚다

 

저자는 문학사, 문화사, 사상사, 사회 운동사 등을 아우르며 제국의 근현대사를 이해하기 위해 출판문화라는 재료를 마음껏 활용한다. 일본제국이 전쟁 프로파간다를 위해 하야시 후미코 등 순문학 소설가들을 전장에 보내 종군기를 쓰게 하고 고단샤나 아사히 신문사 사장을 대외 선전을 위한 전쟁 담당 부서에 동원하는 이유를 세밀하게 그려냈다.

 

‘불량한 책들의 문화사’를 관통하는 것은 결국 강력한 검열도 출판문화를 죽일 수 없다는 사실이다. 일본제국은 내무성 산하에 출판 경찰을 두고 있었고 사상 검사로 활약했다. 저자는 이러한 판매 금지 명령이 떨어지더라도 감시망을 피해 수레를 동원한 ‘전도 행상’ 등을 통해 유통하고 수익을 내는 출판 운동이 있었다는 사실에 시선을 둔다. 이와 함께 일본제국의 합법·불(비)합법 출판 자본이 식민지 조선의 출판시장과 어떻게 만나는지 파고든다.

 

■ 권력이 탄압이 만들어낸 부가가치

 

책은 총 8장으로 구성돼 있다. 1장 ‘프롤레타리아’에서는 러일전쟁 후 간행된 최초의 ‘공산당 선언’의 일본어 번역에서 ‘proletariat’의 번역어로서 ‘평민’이 선택된 과정과 조선의 식민지화 과정을 논의한다. 2장 ‘도서관’에서는 제국의 아카이브로써 조선의 도서관에 주목하고 그것이 어떠한 말과 사람을 포섭하고 배제했는가를 논증한다. 3장 ‘불령선인’과 4장 ‘검열’에서는 조선인 사회주의자들이 일본 본토에서 출판한 후 내무성 도서관에서 검열을 받은 후 한반도에 반입하는 전술을 전개했음을 이야기한다.

 

그런가 하면 8장 ‘전쟁’에서는 일본 미디어의 한국전쟁 보도가 구 일본제국의 지적 체계와 경제력의 부활이라는 현실을 은폐하며 폭력에 가담하지 않는 ‘중립적인 평화 국가, 일본’의 자화상 그리기에 몰두하는 모습을 분석한다. 책은 일본인을 대상으로 쓴 책이자 식민지를 전면에 내세운 단행본임에도 이례적으로 일본 미디어의 많은 주목을 받으며 “식민지 조선의 출판 유통을 조망하면서 ‘내지’와 식민지의 복잡한 교섭과 갈등을 예리하게 그렸다”는 평을 받았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