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의 고속도로 노선이 도심 생활권을 가른다. 지금은 최고 명품 도시가 된 한 지역이 그런 예다. 2000년대 초 경기도시공사가 개발을 시작했다. 그때 신도시를 가로지르는 영동고속도로가 문제였다. 도심 소음과 도시 분할이 불보듯 뻔했다. 소음은 폐쇄형 방음 시설로 완벽히 해결됐다. 하지만 도시 분할은 더 이상 논의되지 않았다. 우려는 현실이 됐다. 같은 신도시지만 완전히 다른 생활권이 됐다. 지금 그곳은 모든 게 극단적으로 나뉘었다.
이런 문제가 김포시에서 불거지고 있다. 김포시를 가로지르는 계양~강화 고속도로다. 계양구 상야동에서 강화군 갑곶리에 이르는 30㎞다. 총사업비 3조원을 들여 7공구로 나눠 개설된다. 현재 설계가 마무리 단계에 있다. 기획재정부의 총 사업비는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한국도로공사 구상은 연내 착공, 2031년 완공이다. 이 고속도로 노선이 한강신도시와 김포 한강2공공주택 지구를 관통한다. 두 도시를 완전히 쪼개는 노선이 그려져 있다.
도시 간 소통 단절과 생활권 분리는 불가피하다. 김포·경기 둘레길과 생태·휴식공간 침해도 우려된다. 김포시와 지역 정치권이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4.2㎞의 4공구 중 신도시 구간만이라도 지하화를 요구하고 있다. 김병수 김포시장이 ‘고속도로 지하화’를 요구했고,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도 ‘필요성 공감’을 표했다. 지역의 박상혁 의원(김포을)은 LH를 찾아 뜻을 전했다. 지하화 필요성에 대해 김포지역 전체가 하나의 목소리다.
문제는 지하화에 드는 추가 사업비다. 도공 측은 지하화 사업비를 4천억여원으로 추산했다. 신도시 개발 주체인 LH의 판단이 중요해진 상황이다. “도공과의 분담 문제도 있다. 조만간 내부 방침을 결정할 계획이다”는 입장이다. 이번 경우는 앞서 소개했던 신도시의 예와 또 다르다. 당시에는 영동고속도로가 이미 자리하고 있었다. 경비·공법 등에서 지하화가 대단히 복잡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신설하는 고속도로다. 방향만 잡히면 어렵지 않다.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타당성도 있다. 지상 고속도로에는 방음 시설이 필요하다. 최근 도심 고속도로 방음은 전면 폐쇄가 대세다. 이 비용이 결코 적지 않다. 여기에 도심 분리에 따른 도시 가치 하락도 크다. 초기 분양 등 수익성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고속도로와 신도시의 상관 관계는 곳곳에서 증명되고 있다. 무엇보다 김포 100년을 정하는 도시·도로 계획이다. 4천억원 아끼려고 더 큰 걸 잃어선 안 된다.
의지와 지혜가 동시에 필요한 ‘김포시 고속도로’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