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율이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인천시는 사회적기업의 활성화를 위해 인천형 통합 플랫폼 등을 만들어야 합니다.”
신영희 인천시의원(국민의힘·옹진군)은 5일 열린 인천시의회 제302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인천의 사회적기업 제품이 지역에서 소비되고 성장하는 생태계를 마련해야 한다”이 이같이 밝혔다.
신 의원은 “사회적기업 제품을 어디서 사야 할지 모른다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많다”며 “정보 부족과 접근성의 한계는 소비 부진으로 이어지고, 이는 사회적기업의 생존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회적기업은 단순히 지원만 받는 조직이 아니라, 지역 문제를 자생적으로 해결하고 복지와 경제를 함께 성장시키는 주체”라고 강조했다.
인천연구원에 따르면 인천의 사회적경제 기업 수는 지난 2016년 532개에서 2025년 1천211개로 늘었지만, 옹진군은 44개, 강화군은 79개에 그쳐 도서·외곽 지역은 기회조차 갖기 어렵다. 또 지난 2024년 사회적기업 통합정보시스템(SEIS) 자료에 따르면 인천의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율은 6.58%로, 전국 평균 8.9%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 의원은 “인천이음, 더담지몰 같은 유통 플랫폼이 있지만, 공공의 참여가 저조해 민간 소비로도 확산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는 ‘구매 목표제’를 통해 9.89%의 구매율을 기록했고, 경기도는 민간 쇼핑몰 연계, 임팩트 펀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적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며 “이제 인천도 실질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신 의원은 인천형 통합 브랜드 구축과 민간 온라인 채널 연계를 통해 시민 누구나 쉽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유통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고향사랑기부제 등 기부 플랫폼에서도 사회적경제 기업 상품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과도한 서류 요구 등 행정 절차를 간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공공기관은 물론 민간기업, 학교, 병원에서도 사회적기업 제품을 적극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어 ‘아이(i)-가치나눔’ 사업을 가치소비 캠페인, 체험형 꾸러미, 청년 마케터 활동 등으로 확대해 실생활에서 사회적기업 제품을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 밖에도 도서·외곽지역 기업 지원을 위한 별도 조직 운영과 현장 밀착형 교육, 판로 지원 강화, 민간 주도의 금융·세제 지원과 사회적경제특구 지정, 식품 제조 허가를 위한 시제품 제작 및 검증이 가능한 실증센터 설립도 함께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신 의원은 “사회적기업 제품을 한 번 구매하는 일은 단순한 소비를 넘어 지역의 일자리와 공동체 미래를 키우는 소중한 실천”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회적경제 선순환 생태계가 인천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모두의 적극적인 동참을 바란다”고 덧붙였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