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 로고
2025.07.02 (수) 메뉴 메뉴
위로가기 버튼

최태원 “중국, AI도 제조업도 우리 앞서…제조 경쟁력 강화해야”

SK, AI 데이터센터·대형언어모델 솔루션 개발 계획 발표
“‘독보성’이 경쟁력…목을 치려면 팔을 내어준다는 각오로 도전”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 연합뉴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 연합뉴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중국의 기술 발전 속도를 경고하며 제조업 강화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3일 상의에 따르면 최 회장은 전날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열린 ‘미래세대와의 AI 토크 콘서트’에서 “경쟁자인 중국의 속도를 보면 시간이 흘러 우리가 쫓아가지 못하고 죽을 확률이 상당히 높다”며 “제조업을 강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중국이 인공지능(AI)도, 제조업도 우리나라를 앞서는 형태로 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장기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풀링(끌어당기는 힘)이 필요하다”며 “모든 기업이 제조 데이터를 모으고 시스템을 만들어서 제조 경쟁력을 급격히 올리는 프로그램이 없다면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최 회장은 “트럼프가 관세를 올려 공장을 한국이 아닌 타 국가로 옮기는 상황이 생기더라도, 백그라운드 기술이 없으면 다른 나라에서 할 수 없다”며 “AI와 제조업을 결부한 경쟁자들이 공장을 만들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얼마나 독보적이냐가 경쟁력”이라며 “SK도 글로벌 전쟁을 하려면 힘들고, 상대의 목을 치려면 팔을 내어준다는 각오로 도전하고 쟁취하려고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최 회장은 SK의 미래 전략 계획을 발표했다. 그는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칩 설루션을 만드는 것”을 꼽으며 “메모리를 넘어 메모리를 확장하는 플랜을 만들고, AI 데이터센터를 가장 싸게 짓는 길을 갈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대형언어모델(LLM) 형태의 AI 설루션을 만들고 텔코 관련 기업간거래(B2B), 기업소비자간 거래(B2C) 모델을 만들어갈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참석자들에게 “명분이 있는 꿈을 가지고, 그 꿈을 로직(논리)으로 만들어 액션을 취하라”며 “피보팅(전략 수정)을 하면서 리소스를 최대한 활용해야 실수를 적게 할 수 있다”고 조언을 남겼다.

 

한편 상의와 카이스트가 공동 개최한 이번 토크 콘서트는 AI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분석하고 AI가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 대화하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행사에는 최 회장과 이형희 SK수펙스추구협의회 위원장 등 기업 대표를 비롯해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 정송 카이스트 AI대학원장, 카이스트 학생 및 예비 창업자 200여명이 참석했다.

댓글(0)

댓글운영규칙

- 권리침해, 욕설 및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내용을 게시할 경우 이용약관 및 관련법률에 의해 제해될 수 있습니다. 공공기기에서는 사용 후 로그아웃 해주세요.

0 /400